칠보에 관하여
등록일 2001.06.15
한컴오피스 (hwp) 6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칠보에 관하여 일반적인 상식과 제작과정과 제작동기등을 적은것 입니다.직접 만들고 나서 쓴 것 이기 때문에 더욱더 확실한 장보가 될 것입니다.
목차
1. 칠보란 무엇인가?2. 기원 및 발달사
3. 칠보의 일반적 고찰
4. 칠보의 기본 공정 분석
5. 칠보의 기법
6.칠보를 하고 난 소감
본문내용
1. 칠보란 무엇인가?칠보의 어원에 대한 정확히 기록된 문헌은 없으나 佛敎典에 일곱 개의 보석 즉 「금·은·유리·파리·산호·마노·진주」의 아름다운 빛과 광택을 지니고 있어 칠보장업하다고 하여 이것의 통칭이 곧 칠보라 이름지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 일상적으로 불리우는 七寶는 일본식 이름이며 칠보작품이 많이 남아 있는 조선조에는 '파란공예'라 불렀고, 일본에서는 「七寶」,중국에서는 「大食窯」또는 「佛浪嵌」이나 「琺瑯」이라 불리우고 그 일부는 思國窯, 琺瑯嵌등으로 관계하는 수입지명에서 이름지어지든지, 시대의 연호를 따서 景泰覽이라고도 전한다. 또 영어로는 Enamelling이라 불리우며, 이것은 영어의 어원이 불어나 라틴어로 되어 있어 불어의 Emaillure가 영어로 Enamel이 된 것이다. 비잔틴을 희랍인은 Polin이라 부르는데, 이 이름이 중국인에게는 佛郞이나 發監으로 들렸던 것 같고, 구슬같은 형성효과로 琺瑯이라는 조어가 생겼다. 우리나라의 '파란'이란 이름도 대략 Polin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현대의 의미로서는 투명도가 있는 것이 칠보이고, 투명도가 전혀없는 불투명유약으로 되는 것이 법랑이라 한다.
판매자 정보

yunicon2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