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 유도질문 훈련이 문제해결과 자기효력감에 미치는 효과
- 최초 등록일
- 1999.10.02
- 최종 저작일
- 1999.10
- 5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가. 협력학습
나. 구조화된 동료질문-반응 훈련의 효과
1) 사회-인지 이론의 관점
2) 정보처리 이론의 관점
다. 문제 및 문제해결
라. 자기효력감(自己效力感, self-efficacy)
Ⅲ. 연구문제 및 가설
가. 연구문제
나.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가. 실험설계
나. 피험자
다. 측정도구 및 방법
1) 문제해결 과제 성취도 검사
2). 자기효력감 검사
라. 실험도구
1) VCR용 비디오 테잎
2) 훈련용 학습지
마. 실험절차
바. 처치
1) 동료 유도질문 훈련
2) 통제집단에 대한 처치
사. 자료분석
Ⅴ. 연구결과
가. "가설1"의 검증결과
나. "가설2"의 검증 결과
Ⅵ. 논의
참고문헌(參考文獻, References)
본문내용
우리나라 속담에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말이 있다. 이러한 표현은 어떤 일을 해내야 할 때 서로 도와서 하는 것이 피차 힘도 적게 들 뿐 아니라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내고자 쓰는 말인 것 같다. 공부하는 데도 이러한 지혜가 적용될 수 있다는 생각이 이 연구의 밑바탕을 이룬다.
많은 연구들은 학생들이 혼자서 공부할 때 보다 협력상황에서 공부할 때 학습이 더 효과적이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협력학습을 개별적 학습과 비교한 226편의 논문을 검토한 Johnson 과 Johnson(1989)의 연구에 의하면, 63%의 논문이 협력학습이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협력학습에서 구조화된 질문의 효과를 집단의 문제해결 수행과 그에 밀접하게 관련된 자기효력감(self-efficacy)의 측면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