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영의 '고향'
- 최초 등록일
- 2001.05.15
- 최종 저작일
- 2001.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30년대의 소설적 환경
2. <고향>에서 그려지는 농촌의 현실
3. 인물론 - 김희준을 중심으로
4. 사랑을 다루는 방식
5. 맺으며
본문내용
'고향'은 농민의 생존문제 해결과정을 보여주는 데 제일의 목적을 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 과정은 '깨어 있는 현실의식'을 가진 농민 속의 지도자를 중심으로 농민 자신들이 단결하여 농민운동을 전개함으로써 생존권을 확보해나가는 것이었다. 이와같은 해결방법은 카프 작가들의 작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도식적인 귀결이긴 하나, 30년대 당시의 시대상황에서 농민들이 취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농민의 생존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몽'의 차원을 넘어서는 농민으로부터의 '계급투쟁'이 절실했던 것이다.이러한 점에서 농민의 생활실상을 많은 등장인물을 통하여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고향'이 이루어놓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식민지라는 특수 상황에 놓인 농민의 생활을 정확히 반영하며 농민들에게 현실극복의 방법을 암시해줄 수 있는 소설이 바람직한 농민소설이라는 데 동의한다면, '고향'은 거기에 접근하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결국 '고향'이란 작품은 일반의 농민들을 독자로 삼아 자신들의 생활 가운데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들을 봄으로써 재미를 느끼는 한편, 자신들의 주변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나아가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지켜봄으로써 자신들의 당면 문제에 좀더 적극적으로 대응함을 가능하게 하는 작품이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