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제자백가의 학문과 사상
- 최초 등록일
- 2000.09.18
- 최종 저작일
- 2000.09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제자백가의 배경과 성격
1. 제자백가 성립의 배경
2. 제자백가 사상의 성격
Ⅲ. 제자백가의 내용과 그 영향
1. 유가사상
1) 공자의 사상
2) 맹자의 사상
3) 순자의 사상
2. 도가사상
3. 묵가의 사상
4. 법가의 사상
Ⅳ. 결론
본문내용
. 서론
우리가 어떤 나라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면 다른 무엇보다도 그 나라 사람들의 문화와 역사를 알아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에 선행하는 것이 그 나라 사람들이 인식하고 생각하는 방법 즉 사상에 대한 이해일 것이다.
우리는 흔히 우리가 속한 문화를 동북아시아 문화권에 속한다고 한다. 고대로부터 중국이라는 나라는 우리 나라에 영향을 주어왔는데 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유교적 문화일 것이다. 이렇듯 중국뿐 아니라 주변국들에게까지 문화적으로 사상적으로 기준으로써 작용하고있는 유교와 그 외 중국인들의 인식의 기반이 되고 있는 여러 사상들, 이를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춘추시대에서 이들을 찾아볼 수 있다.
춘추시대 말기부터 전국시대에 걸쳐 독특한 사상가들이 다수 배출되었다. 이들은 제자백가라고 불리워지는데, 그들이 사상활동이 보여주었던 역동성은 백가쟁명이라는 말로 표현되고 있다. 제자는 선생을 의미하고 백가는 많은 저술가라는 의미를 갖는다. 제자백가가 출현하기 이전의 중국에는 사상가라고 부를 만한 사람이 거의 없었고 개인의 저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선 춘추시대 말기부터 전국시대에 걸치는 시기에 갑자기 많은 사상가들이 배출되었던 것은 어떤 이유 때문인가가 문제시된다. 그리고 이어서 제자백가에는 어떤 학파들이 있으며, 각 학파를 대표하는 사상가들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가, 또 각각의 사상적 특징은 무엇이며, 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등의 문제들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제자백가의 배경과 그 내용, 그리고 영향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