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학]관절운동의 역학적기전
- 최초 등록일
- 2000.09.14
- 최종 저작일
- 2000.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관절면에서의 운동
관절의 위치
관절동작의 형태
관절의 분류
본문내용
관절 운동학이란 골 운동 역학과 관절 운동 역학으로 크게 구분된다. 운동과 관련이 있는 관절의 영향에 대해서는 별로 고려를 하지 않고 다만 모든 뼈의 운동에 해해서만 기초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며 여기에 반해 관절운동역학은 관절의 운동을 보다 역학적으로 취급하는 분야이다.
관절면에서의 운동
달걀형 면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관절면은 단지 한 자세에서만 다른 관절면과 부합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은 보통 관절운동의 말단에서 일어난다. 관절의 이러한 위치를 운동학에서는 잠김 위치(close-packed position)라고 한다. 그리고 기타의 다른 위치에서는 불완전한 맞춤(poor fit)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을 풀림 위치(loose-packed position)라고 한다.
이처럼 관절면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두 관절면 사이의 운동은 스핀(spin), 활주(slide), 구르기(roll)의 세가지 기본요소들을 통하여 분석한다. 관절면 사이의 운동을 일반적으로 고이는 경우와 반대로 고정된 남성형 면(male surface) 위에서 여성형 면(female surface)이 움직이는 경우와 반대로 고정된 여성형 면 위에서 남성형 면이 움직이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그림을 보는 바와 같이 이들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일어나는 관절운동들은 이들 방법이 서로 적당하게 연합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즉, 움직이는 남성형 면과 함께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활주와 구르기가 일어나기도 하고, 반대로 움직이는 여성형 면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이들 운동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들은 연합은 관절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운동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