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생물> 막구조
- 최초 등록일
- 2000.09.06
- 최종 저작일
- 2000.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1장 막구조
12장 세포막수송
본문내용
11장 막구조
원형질막 : 자가 생산이 이루어지는 장소
①장벽역할(선택적) ②감각기처럼 작용
내부막 : 진핵세포에 有(선택적 장벽)
세포막 : 지질(지질이중층)과 단백질(장벽기능을 제외한 다른 모든 기능)로 구성
막지질분자 : 친수성(전하를 띤 원자와 극성분자)인 머리, 소수성(비극성분자)인 탄화수소 꼬리 ->양친매성
지질이중층 : 막지질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 but 이중층내의 운동이나 위치변동을 막지 못함(이차원적인 유동구조)
플립-플롭 : 이중층의 한쪽 면에서 다른 쪽으로 뒤집히는 경우(열이 가해지면 가능)
온도가 떨어지면 열에너지의 감소로 지질분자들의 이동속도와 유동성 감소
세포막의 유동성 : 지질분자가 이중층의 평면안에서 얼마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가.
이는 인지질의 구성성분& 탄화수소 꼬리의 특성(길이와 불포화정도)과 밀접한 관련, 탄소의 수가 적은 것은 다른 지질분자와 결합하는 힘이 약하다는 뜻이며, 이중층의 유동성이 증가함을 의미
막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막단백질은 지질이중층 내에서 빠른 확산을 통해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포내 신호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콜레스테롤 : 동물세포에서의 막유동성의 조절
지질이중층은 비대칭이다.
막 형성 : 한쪽 단일층 부분의 지질분자가 반대로 이동해야 함->플립파제에 의해 촉매
소포체 : 진핵세포에서의 모든 막의 합성이 일어나는 장소
당지질 : 원형질막에 존재하며, 비세포기질쪽에서 발견, 보호막의 일부 형성
지질이중층의 상대적 투과성
① 통과 - 작은 비극성 분자, 작은 비전하성 극성분자
② 통과× - 큰 비전하성 극성 분자, 이온과 전하를 띤 분자
막단백질 : 영양분, 대사물, 이온등의 수성, 거대분자 고정, 화학적 신호 인식하여 전달, 화학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막단백질과 지질이중층과의 결합
① 막관통단백질의 소수성부분은 지질의 소수성 꼬리와 접함
②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
③ 다른 막단백질과 아주 약한 비공유 결합을 통해 연결
단백질 사슬의 대부분이 α나선형으로서 막을 통과
막단백질의 순수분리 - 지질이중층의 소수성 결합을 파괴하여 막 용해(계면활성제)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