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청소년 비행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0.09.03
- 최종 저작일
- 2000.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비행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
(1)긴장이론
(2)통제이론
(3)사회학습이론
2. 비행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
(1) 성격이론
(2) 심리적 스트레스 이론
(3) 자아존중감 이론
3. 비행이론의 통합화 경향
(1) 비행에 관한 사회적 요인의 통합화
(2) 심리적 변수와 사회적 변인과의
이론적 통합화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 론
오늘날 청소년 비행은 양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질적으로 조직화, 흉악화, 폭력화 추세를 보이면서 연령에 있어서는 저연령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청소년의 비행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질적으로 다양화 되어 가고 있는 현상은 우리 사회에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첫째, 아동기로부터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도기에 있는 청소년기의 비행증가는 곧 개인의 인성발달의 저해를 반영한 것이며 앞으로 책임감을 지닌 독립된 성인으로서의 능력과 인격을 갖추는데 있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즉, 비행청소년은 비행성인으로 되며 결국 이런 비행성인의 증가는 국가 장래를 위태롭게 한다.
둘째, 청소년 비행의 증가는 가정이 제기능을 하지 못함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가정은 개인에게 사회적 규범과 가치를 내면화 시켜 주는 일차적인 사회집단이기 때문이다.
셋째, 청소년 비행의 문제는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시사한다. 즉, 학교교육이 학생들을 바람직한 사회의 일반규범이나 가치에 동참하도록 고취시키는데 실패하고 있음을 실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청소년 비행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은 전통적으로 크게 두 가지 접근방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하나는 비행을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성격구조에서 찾고자 하는 심리학적 접근법이고 또 하나는 비행을 사회구조적 요인으로부터 찾고자 하는 사회학적 접근법이다. 비행의 원인에 관한 전통적 사회학의 관점은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간의 괴리에 기인한 심리적 긴장을 강조하는 긴장이론과 사회 통제력의 약화를 초점으로 이론을 제기한 통제이론 및 다양한 사회화 과정의 결과로 보는 사회학습이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세 가지 이론을 수정·보완하여 통합한 통합이론이 최근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비행에 관한 이러한 여러 이론 또는 그에 대한 실증적 검증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개별적 이론에 의해 모든 비행의 유형을 설명하기에는 한계성이 있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비행행위는 흔히 다양한 환경의 힘을 배경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어떤 비행행동은 단일이론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을지 모르나 모든 비행이 똑같은 이론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