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아동의 등교부터의 행동
2.다음 활동으로의 전개
3.소집단활동
4. 자유선택활동시간
5.자유선택활동 정리 및 평가
6. 대집단 활동(대그룹활동)
7.정리
8.교실환경구성면
9.교사의 행동
10.놀이의 상황과 교사의 개입 .역할
(1)교사의 개입 문제(2)소유갈등
10.프로그램의 평가
본문내용
9.교사의 행동
① 구성
: 정교사는 차분하고 일관된 분위기 속에서 아이들에게 관심을 가질 때와 계획적으로 무관심 할 때 등 절도가 있어 숲을 보는 느낌이었다면 실습생은 나무에 주력하여서 아이들 하나하나를 보되 각 상황마다 모든 것이 위기로 비추어져서 아이들 또한 선생님의 관심을 끌기위해서 노력하며, 활동적이면서 열의에는 차 있으나 일관성이 떨어졌다.
10.놀이의 상황과 교사의 개입 .역할
(1)교사의 개입 문제
①아이들이 너무 어려서 극놀이를 너무 단순한 주제나 내용이 빈약한 경우 교사는 어떻게개입해야 하며 그 개입이 아이들에게 적절한 것일까?
②눈에 보이는 상황에 대해서만 칭찬해 주는 것이 아이에게 항상 해가 되는 것인가?그렇다면 어떻게 개입을 해야 하는가?
③대집단 활동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아동에 대해서 교사는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가?
④3세 아동(전조작기) 의 특성인 ‘자아중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2)소유갈등
:자아중심성이 강한 3세 아동이라서 나누어 갖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내 것에 대한 집착을 보이는데 유치원이라는 공동 생활시에 이러한 갈등은 자주 발생한다. 3세 아동은 놀이의 형태도 주로 병행놀이 형태이며 사회적인 기술이 부족하므로 놀이감의 소유권에 대한 싸움이 잦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들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나 이러한 갈등은자신들의 자아중심성으로인하여 문제 해결하지 못할 때 교사의 개입이 문제시된다. 이러한 경우 교사는 갈등을 일으키는 어린이에게 다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주의를 분산시키며 교실 내에서의 규칙을 아이들에게 상기시킨다.또한 신체적인 공격, 공격적인 언어로 상대에게 상처를 주지 않게 한다.
(3)놀이감.인기영역의 문제
:놀이감을 더 늘리거나 혼란을 막기 위해 대기자 명단 등을 작성하고, 시간을 제한하여 팀 순서대로 바꿀 수 있도록 하며 관심을 분산시키기 위해 흥미영역(인기영역)을 2~3개 마련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