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네슘의 정량 : 킬레이트 적정
- 최초 등록일
- 1999.10.18
- 최종 저작일
- 1999.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마그네슘의 정량 : 킬레이트 적정
본문내용
착이온(complex ion)은 이온이나 중성분자들에 의하여 둘러 싸인 중심이온(금속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이다. Cu(OH)42+등이 그 예이며 각 경우에 Cu2+가 중심이온이 된다. 킬레이트화(chelation)는 한 개 이상의 결합을 하는 중성분자나 이온을 포함하는 "착이온"을 형성하는 것을 일컫는다. 킬레이트(chelate)란 말은 그리스어의 chele 즉 "claw(집게발)"로 부터 유래된다.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중심이온에 붙을 수 있는 "집게발" 또는 결합자리를 가지고 있다.
이 실험에서 킬레이트제로서 ethylendiamine tetraacetic acid의 disodium염을 사용하게 된다. (disodium은 두 개의 sodium을 뜻한다.) 이것을 간단히 EDTA라 부르며, 화학 방정식에서는 간단히 Na2H2V라 쓰게 된다. 이것은 용액 속에서 이온화할 수 있는 두 개의 나트륨 원자와 2개의 수소 원자가 분자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강조해 주는 표기 방법이다. 또한 V는 EDTA의 그 외의 잔여기를 나타내 준다. 나트륨 원자는 이온화하지만 수소 원자는 단지 염기 용액에서만 이온화한다. 이것은 용액 중에서 수소이온의 총 농도는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림 1은 H2V2-인 두 개의 음이온을 띤 분자의 형태(2개의 Na+가 해리된)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