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음악과 서양음악
- 최초 등록일
- 1999.10.11
- 최종 저작일
- 1999.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음악의 3요소 : 리듬.가락,화성
2.빠르기표
3.나타냄말
4.춤곡
5.악기의 종류
6.기악의 연주형태
7.우리나라 음악
8.세계의 주요작곡가와 작품
9.서양음악 용어
10.우리나라 음악용어
본문내용
- 국악의 음계 : 궁상각치우/[평조],[계면조]사용
- [내드름] : 내는 가락/처음 게시되는 부분
- [다스름] : 연습곡
- 더늠 : 판소리유파에 따라 계승되어 오는 특정한 대목 혹은 음악 스트일
- 독공 : 득음하기 위한 발성훈련
- [뜬쇠] : 남사당패 각 종목의 선임자
- [꼭두쇠] : 우두머리
- 뜬패 : 전문 예술인 집단
- 두레패 : 직접생산자 집단 모임
- 바디 : 판소리 한판의 전체적 짜임새
어느 유파의 스타일
- 3대 악성 : 박연/왕산악/우륵
- 판소리 유파 : 동편제 - 씩씩,담담
중고제 - 경기,충청
서편제 - 부드럽고 애절
- 향약 : 삼국시대 - 조선시대까지
외래음악에 대해 기존 음악을 가리켜/아악과 당악에 대비
- 아악 : 궁정용으로 쓰던 우리나라 고전음악
고려예종때 송에서 받아들임
조선시대 세종때 [박연]이 정리 - [여민락] - 용비어천가의 1-4장, 125장
- 당악 : 당나라 음악
아악이 궁중음악이라면 당악은 민속음악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