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답사
- 최초 등록일
- 1999.10.07
- 최종 저작일
- 1999.10
- 3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제주도 개관
2. 답사일정
3. 답사지 소개
4. 전통놀이와 문화
5. 특산물
6. 향토음식
본문내용
제주도 역사의 기원은 석기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대 사람들은 동굴이나 바위 그늘 주거지에서 생활하였으며 유물로는 타제석기(打製石器), 골각기(骨角器) 등이 발견되고 있다.
이후 청동기, 철기시대의 유물, 유적으로 고인돌, 마제석기, 토기, 옹관묘(甕棺墓) 등도 도내 전역에 분포되고 있어 제주도 역사의 기원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제주의 옛 명칭은 도이(島荑), 동영주(東瀛州), 섭라(涉羅), 탐모라(耽牟羅), 탁라(托羅) 등으로 불리워져 왔다. 이들 명칭 중 '동영주'만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섬나라'라는 뜻이다.
제주도의 개벽 신화인 3성(三性)신화에 의하면 태고에 '고을나(高乙那)', '양을나(良乙那)', '부을나(夫乙那)'라고 하는 삼신인(三神人)이 한라산 북쪽 모흥혈(毛興穴, 현재의 삼성혈)이라는 땅 속에서 솟아나와 가죽옷을 입고 사냥을 하며 살고 있었다. 이들 삼신인들은 '벽랑국(壁浪國)'에서 오곡의 씨앗과, 송아지, 망아지 등을 갖고 목함을 타고 제주도 동쪽 해상으로 들어온 삼공주를 맞아 혼례를 올렸다. 이때부터 이들은 오곡의 씨앗으로 농사를 짓고 소와 말을 기르며 살기 시작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