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유로코뮤니즘
1. 유로코뮤니즘의 형성
2. 유럽각국에서의 유로코뮤니즘의 행로
1) 프랑스
2) 이탈리아
3) 스페인
3. 유로코뮤니즘의 국가관/민주주의관
Ⅳ. 우리나라에서의 진보정당
1. 진보정당추진위원회(이하 진정추)와 민주정치연합(이하 민정련)의 탄생
2. 진보정치연합(이하 진정련)의 탄생
3. 정치개혁 시민연합(이하 정개련)의 등장
Ⅴ. 나오며
본문내용
한국에서의 진보당운동은 생각보다는 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진보정당은 87년 민중항쟁과 노동자 대투쟁을 계기로 기존 보수 야당과 대별되는 노동자, 민중의 정치세력화 요구가 운동 주체들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87년 대선 당시의 백기완 민중후보운동, 13대 총선 때의 「민중의 당」 운동, 90년 「전민련」의 조직 분리와 「민중당」의 결성, 91년 7월 「한국 사회주의 노동당 창준위」의 등장과 12월 ‘신노선’을 채택한 「한국노동당 창준위」의 건설, 92년 舊「민중당」과 「한노당 창준위」의 통합으로 등장한 「민중당」과 총선 직후 해체, 92년 대선 당시의 민중후보 운동, 이후 백선본 참여 세력을 중심으로 한 진보정당 건설 논의, 95년 9월 「진보연합」의 출범 등이 그동안 민중운동 진영 내에서 이루어진 진보정당 논의를 둘러싸고 진행된 조직적인 실천들의 과정이다.
참고자료
· 존 몰리뉴, 『마르크스주의와 당』(책갈피)
· 이호영, 「사회주의로의 민주적 이행전략에 대한 고찰」, 서울대 사회학과 석사논문, 1992
· 산티아고 까리요, 「유로코뮤니즘과 국가」(새길)
· 프레베, 「유로코뮤니즘에서 유로좌파로」, 『이론』 3호
· 「유로코뮤니즘의 몰락과 그 교훈」, 『사회주의 평론』 2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