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세의 성격과 정치 세력의 동향
- 최초 등록일
- 1999.10.26
- 최종 저작일
- 1999.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1. 보수 정치의 위기와 개혁 진보 세력의 퇴조
2. 권력 논리를 중심으로 한 정치적 재편성
3. 새로운 정치 세력화의 두 측면
4. 정치공간의 재편성과 정치 발전의 가능성
5. '새로운' 새정치의 모색
본문내용
한국 사회에서 분단구조에 편승한 기형적인 보수 일변도의 정치질서는 종착역을 바라보고 있다. 보수정치의 종말은 동시에 지역주의정치의 종말을 의미한다. 한국사회에서 민주화와 개혁은 현시점에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인 반면 최근의 보수화 경향은 이러한 흐름을 거역하면서 지배를 유지하고자 하는 기성정치질서의 마지막 저항이다. 이런 점에서 보수정치와 지역주의 정치를 거부하는 새정치는 시민사회의 시의 적절한 문제제기인 동시에 정당한 요구이다. 여기서 새정치는 정치세력관계에 기초해서 모색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서 정치구조와 제도를 개편하며, 그 힘에 기초해서 사회경제적 개혁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어떤 경우든 그 대안은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재야민주화운동의 전통, 특히 6월 항쟁의 승리와 7-9월 노동자 투쟁의 전통을 역사적으로 계승하는 조직적인 것이어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