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 [동백꽃]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1999.02.22
- 최종 저작일
- 1999.0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김유정의 문학세계
1)시대적 배경
김유정이 활동하던 1930년대는 20여년이 넘는 총독부 정치가 완전한 식민
체제를 갖추면서 만주. 지나 사변과 연이은 세계대전에 대비 조선에 대한
각양의 수탈책이 절정에 이른 시기이다. 일본은 자국의 식량 위기를 벗어나
기 위하여 조선에 산미증산계획을 실시하여, 조선에서는 증산된 쌀을 빼앗
기고 만주에서 조를 수입하여 연명해 나갔다. 더우기 세계적인 경제공황에
휩쓸린 조선은 쌀이 모자라는데도 쌀값은 떨어지고 수리시설을 했음에도 땅
값은 떨어져 급격한 이농현상이 일어나고 실업자가 급증하였다. 더불어 이
시기는 일제가 무단 폭력 지배의 고삐를 차츰 문화 정치로 우회시키면서 국
어 국문의 말살, 창씨개명, 사상범 검속을 강화되던 때로서, 식민지 영구화
작업이 착착 진행되고 있던 가장 가공스러운 시기였다.
이에 대하여 우리 민족운동은 보다 간교해지는 식민화 정책에 대비하여
다양한 방향을 모색하게 된다.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계열의 집결 아래
신간회가 발족(1927년)하여 새로운 전략의 항일운동이 전개되고, 1931년에
는 조선어학회가 발족하여 {조선어사전}을 편찬해 놓았다. 오늘날 실증사관
에 대한 비판과 함께 관학파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으나 진단학회가 성
립된 것도 이즈음이다. 전국 곳곳에서는 야학이 생겨나 글을 깨우치고 생활
을 개선하는 일이 민족의 역량을 비축하는 것이라고 여겨졌으며, 브 나로드
운동이 온 누리에 번져 나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