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chtemeier, P. J., Green, J. B., Thompson, M. M.「현대적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양성서 개론」소기천 ․ 윤철원 ․ 이달 역. 서울: 대한 기독교서회, 2007.
· Ahlstrom, G. W. The History of Ancient Palestine. Minneapolis: Fortress, 1993.
· Aune, D. E. The New Testament in Its Literary Environment. Philadelphia: Westminster, 1987.
· Banks, Robert.「바울의 그리스도인 공동체 사상」서울: 여수룬, 1995.
· Barclay, William.「바울의 생애와 선교」서울: 종로서적, 1989.
· .「바울신학 개론」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5.
· Barrett, C. K. A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London: A & C Black, 1991.
· Baur, F. C. Paul the Apostle of Jesus Christ. London: Williams & Norgate, 1876.
· Beker, J. C.「사도바울」장상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1.
· . The Triumph of God: The Essence of Paul`s Thought. Minneapolis: Fortress, 1990.
· Bell, Jr. Albert A.「신약시대의 사회와 문화」오광만 역.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7.
· Benware, Paul N.「신약성경개론」곽철호 역. 서울: 요단출판사, 2002.
· Boers, H. “A Macro-Structure for Romans.” in The Justification of the Gentiles. Paul`s Letters to the Galatians. Peabody: Henfrickson, 1994.
· Bornkamm, G. Paul. New York: Harper & Row, 1971.
· . “The Letter to the Romans as Paul`s Last Will and Testment.” The Romans Debate, ed. by K. P. Donfried. Minneapolis: Augsburg, 1977.
· Brendan Byren, S. J. Romans, Sacra Pagina Series volume 6, ed. Daniel J. Harrington. Collegevill: Liturgical Press, 1996.
· Bright, John. A History of Israel. third ed.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1.
· Bruce, F. F. The Epistle of the Paul to the Romans. London: Tyndale Press, 1963.
· . New Testament History. Garden City, NY: A Doubleday & Company, 1980.
· .「틴데일 신약주석6 로마서」권성수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 Colless, B. E. “Divine Education.” Numen 17 (1970): 118-42.
· Collins, J. N. Diakonia. Re-interpreting the Ancient Sources. New York and Oxford: Oxford University, 1990.
· Cornish, Edward. The Study of the Future: An Introduction of the Art and Science of Understanding and Shaping Tomorrow`s World. Washington D. C.: World Future Society, 1983.
· Cranfield, C. E.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Ⅱ. ICC. Edinburgh: T. & T. Clark, 1979.
· .「로마서Ⅰ」문진섭 ․ 이영재 역. 서울: 로고스, 1994.
· Daube, David. “On Acts 23: Sadducees and Angels.” JBL 109 (1990): 493-97.
· Deissmann, G. A. ST Paul; A Study in Social and Religious History, trans. W. E. Wilson. New York: Harper & Brothers Publishers, 1927.
· Dimont, Max I. Jews, God And History. n. p: Signet Book, 1994.
· Donfried, K. P. The Romans Debate. Minneapolis: Fortress, 1995.
· Drane, John. W. 「바울」이중수 역. 서울: 두란노 서원, 2001.
· Dunn, James D. G.「WBC 로마서 주석 38상」김 철 ․ 채천석 역. 서울: 솔로몬, 2003.
· Elliott, N. “Romans 13:1-7 in the Context of Imperial Propaganda.” Paul and Empire: Religion and Power in Romans Imperial Society. Harrisbur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7.
· Fuchs, E. Hermeneutic. Bad Canstatt, 1963.
· Ferguson, Everett.「초대교회배경사」박경범 역. 서울: 은성, 1993.
· Fitzmyer, J. A. 「바울로의 신학」김수복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95.
· Goodspeed, E. J. 「바울」조성헌 역. 서울: 다산글방, 1993.
· Goppelt, Leonhart.「예수, 바울 그리고 유대교」원광연 역. 경기 고양: 크리 스챤 다이제스트, 2000.
· Grant, Robert M. “Dietary Laws among Pythagoreans, Jews, and Christians.” HThR 73 (1980): 299-30.
· Hayes, W. M. “Tiberius and the Future.” CJ 55 (1959): 2-8.
· Hengel, Martin. Die Zeloten. Leiden: E. J. Brill, 1961.
· Hock, Ronald F. 「바울선교의 사회적 상황」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2.
· Hubert, J. R. 「바울로와 그의 서간들」정승현 역. 서울: 생활성서사, 1989.
· Hughes, R. Kent. Romans: Righteousness from Heaven. Wheaton, IL: Crossway Books, 1991.
· Jervis, L. Ann. The Purpose of Romans: A Comparative Letter Structure Investigation, JSNTSup 55. Sheffield: JSOT Press, 1991.
· Jewett, Robert. “Major Impulses in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Romans since Barth.” Int 34 (1980): 17-31.
· . Romans.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7.
· . “Romans as an Ambassadorial Letter.” Int 36 (1982): 5-20.
· . Romans. Basic Bible Commentary 22. Nashville: Abingdon,
· 1994.
· Jewett, R. “Following the Argument of Romans.” WW 6 (1986): 382-89. in The Romans Debate, ed. by K. P. Donfried. 265-77.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Peabody, MA: Hendrickson, 1991.
· Johnston, Geoge. “Kingdom of God` Saying in Paul`s Letters.” From Jesus to Paul: Studies in Honour of Francis Wright Beare, eds. P. Richardson and J. Hurd Jr. Waterloo: Wilfrid Laurier University, 1984.
· Karris, R. “Rom 14:1-15:13 and the Occasion of Romans.” Catholic Biblical Quaterly 35 (1973): 165-67.
· Kee, H. C. Understanding the New Testament.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1983.
· Käsemann, E.「로마서」한국신학연구소 번역실 역. 서울: 한국신학연 구소, 1993.
· LaSor, William Sandford. The Dead Sea Scrolls and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ds, 1972.
· Leon, H. J. The Jews of Ancient Rome. Philadelphia: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60.
· Lohse, Eduard.「신약성서 배경사」박창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 2000.
· Long, C. R. The Twelve Gods of Greece and Rome. Leiden: Brill, 1987.
· Luther, Martin.「루터의 로마서주석」박문재역. 경기고양: 크리스챤다이
· 제스트, 2008.
· Marcus, J. “The Circumcision and the Uncircumcision in Rome.” NTS 35 (1989): 67-81.
· Marrow, S. B.「바오로 서간과 신학」안소근 역. 서울: 바오로딸, 2000.
· Martin, Ralph P. New Testament Foundations. Grand Rapids: Eerdmans, 1975.
· Meeks, Wayne A.「바울의 목회와 도시사회: 1세기의 기독교인들」
·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 Minear, P. S. The Obedience of Faith: The Purpose of Paul in the epistle to the Romans. London: SCM, 1971.
· Momigliano, A. “How Roman Emperors Became Gods.” American Scholar 55 (1986): 181-93.
· Morris, Leon. The Epistle to the Romans. Grand Rapids: Eerdmans, 1988.
· Nanos, Mark. The Mystery of Romans: The Jewish Context of Paul`s Letter. Minneapolis: Fortress, 1996.
· Nygren, A. Commentary on Romans. Philadelphia: Muhlenberg, 1949.
· O`Grady, J. F.「바오로의 편지」박태식 역. 서울: 바오로딸, 1999.
· Ogilvie, R. M. The Romans and Their Gods in the Age of Augustus. New York: Norton, 1969.
· Osick, Carolyn.「신약의 사회적 상황」김경진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 Oster, R. “Christianity and Emperors Veneration in Ephesus: Iconography of a Conflict.” RestorQ 25 (1982): 143-49.
· Packer, James I., Tenney Merrill C., And White, William ed. The World of the New Testament. Nashville, Camden, New York: Thomas Nelson Pub., 1994.
· Paulsen, D. L. “Early Christian Belief in a Corporeal Deity: Origen and Augustine as Reluctant Witnesses.” HThR 83 (1990): 105-16.
· Picirilli, Robert E.「사도바울」서울: 솔로몬, 1994.
· Price, S. R. F. “Gods and Emperors: The Greek Language of the Roman Imperial Cult.” JHS 104 (1984): 79-95.
· Ramsay, W. M.「사도바울」서울: 생명의말씀사, 1994.
· Reike, B.「신약성서 시대사」번역실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3.
· Reymond, Robert L.「바울의 생애와 신학」원광연 역. 경기 고양: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0.
· Ridderbos, H.「바울신학」박영희 역. 서울: 비젼, 1988.
· Roetzel, Calvin J.「최근의 바울 서신연구」이억부 역. 서울: 은성, 2005.
· Rose, H. J. Religion in Greece and Rome. New York: Harper, 1959.
· Sanders, E. P.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A Comparison of Patterns of Relig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7.
· .「바울」이영립 역. 서울: 시공사, 1999.
· .「바울, 율법, 유대인」김진영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 스트, 1996.
· Schilling, R. "Roman Festivals and Their Significance." AClass 7 (1964): 44-56.
· Sigal, Phillip. Judaism. Grand Rapids: Eerdmands Publishing Company, 1988.
· Simpson, C. J. "The Cult of the Emperors Gaius." Latomus 40 (1981): 489-511.
· Stendahl, K. Paul Among Jews and Gentiles and Other Essays. Philadelphia: Fortress, 1976.
· . Paul, the Law, and the Jewish People. Minneapolis: Fortress, 1983.
· Stuhlmacher, Peter.「로마서 주석」장흥길 역.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교출판부, 2005.
· Tenney, M. C. New Testament Survey. Grand Rapids: Eerdmands Publishing Company, 1985.
· Tidball, D.「신약성서 사회학 입문」김재성 역.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3.
· Watson, F. The Romans debate. Massachusetts: Hendrikson Publishers, 1995.
· Watson, F. Paul, Judaism and the Gentiles. A Sociological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 Williamson, G. I.「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강해」 서울: 양문, 1989.
· Ziesler, John.「로마서 주석」조갑진 역. 서울: 기독교문선선교회, 2002.
· 강유중.「바울연구사」서울: 예수교문서선교회, 1979.
· 곽수희.「바울의 선교전략연구」서울: 아세아연합신학연구원, 1991.
· 권오현.「바울의 생애」서울: 대한기독교선회, 1997.
· 김득중.「신약성서개론」서울: 컨콜디아사, 1990.
· 김성희.「바울의 성서해석 연구」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6.
· 김세윤.『예수와 바울』 서울: 도서출판 제자, 1995.
· .「바울 복음의 기원」홍성희 엮음. 서울: 엠마오, 2000.
· . “사도바울의 큰 비전.”「예수와 바울」서울: 참말사, 1993.
· 김재성.「바울 새로 보기」서울: 한국 신학연구소, 2000.
· 김창락 외.「신약성서개론」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김호용.「바울의 생애와 사상」서울: 대한성서공회, 1987.
· 김현정. “강한 자와 약한 자 주제에 나타나는 바울 사상의 특징 : 고전 8:1-11:1과 롬14:1-15:13.” 이화여자대학교석사논문, 1991.
· 노재관.「신약배경」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5.
· 박근용.「바울의 로마서이해」서울: 두란노서원, 1987.
· 박윤선.「바울서신」서울: 영음사, 1991.
· 박윤선.「로마서주석」서울: 영음사, 2005.
· 박익수.「바울의 서신들과 신학 Ⅰ」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 .「바울의 서신과 신학Ⅱ」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바울의 서신들과 신학 Ⅲ」서울: 대한기독교선회, 2004.
· .「로마서주석 Ⅰ」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 .「로마서주석Ⅱ」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 “최근의 로마서 연구경향.”「신학과 세계 17」서울: 감리교신 학대학교, (1988): 279-99.
· 박수암. “로마서에 나타난 일치와 주제.”「성서학연구 심포지움 29회」
· 장로회신학대학교 성서학연구원, (2001): 28-33.
· 박형용.「바울신학」서울: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1997.
· 박헌욱.「바울의 생애와 신학」박은숙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 서동수. “로마서의 해석학적 원리: 유대인과 이방인의 동등성.” 「신약 논단원문 가을/11권3호」(2004): 683-715.
· . “왜 바울은 로마서를 써야 했는가?”「호서신학 7집」(2000): 122-24.
· 서중석.「바울서신해석」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 .『바울신학연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 시오노 나나미,「로마인이야기 1권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 김석희 역. 경기파주: 도서출판 한길사, 2007.
· .「로마인이야기 2권 한니발전쟁」김석희 역. 경기파주: 도서출 판 한길사, 2007.
· .「로마인이야기 3권 승자의 혼미」김석희 역. 경기파주: 도서출 판 한길사, 2007.
· .「로마인이야기 4권 율리우스 카이사르(상)」김석희 역. 경기 파주: 도서출판 한길사, 2007.
· .「로마인이야기 5권 율리우스 카이사르(하)」김석희 역. 경기 파주: 도서출판 한길사, 2007.
· .「로마인이야기 6권 팍스로마나」김석희 역. 경기파주: 도서출 판 한길사, 2007.
· 신동혁.「바울서신」서울: 기독교문사, 1992.
· 신성종.「신약역사」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2003.
· 심상법. “바울신학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소고.”「신학지남」244,
· (1995): 221.
· 양세훈. “로마서 7장에 나타난 ‘ἐγώ’의 정체성.” 감리교신학대학원 석사 논문, 1994.
· 이상규.「신약시대의 사회와 문화」서울: 한들출판사, 2006.
· .「헬라 로마적 상황에서의 기독교」서울: 한들출판사, 2006.
· 이상근.「로마서」서울: 총회교육부, 1967.
· 이상옥. “로마서 저술목적에 관한 연구사.”「호서원우논단 8집」호서연 합신학대학원 지구촌선교신학연구소, (2004): 17-8.
· . “바울교회에 나타난 강한 자와 약한 자.”「호서원우논단 7집」
· 호서연합신학대학원 지구촌선교신학연구소, (2003): 209-34.
· . “로마교회의 구성원을 통한 로마서 저술동기-롬16장을 중심 으로.”「호서원우논단 7집」호서연합신학대학원 지구촌 선교 신학연구소, (2003): 4-24.
· . “로마서 저술목적에 관한 연구.”「호서원우논단」호서대 연합 신학대학원 지구촌선교신학연구소, (2004. 8집): 235-54.
· 이성희.「미래사회와 미래교회」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 이순옥. “믿음이 강한 자와 약한 자에 대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석사 논문, 1993.
· 이종기.「간추린 윤리학」서울: 세종문화사, 1993.
· 이한수.「바울서신의 메시지」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2004.
· .「바울 신학 연구』서울: 총신대출판부, 1993.
· 이홍기.「사도 바울로의 생애와 편지」왜관: 분도출판사, 1989.
· 장종현, 최갑종.「사도바울」서울: 기독교연합신문사, 2001.
· 전경연.「로마서신학」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원시기독교와 바울」서울: 천안대학교출판부, 1993.
· 정승우. “로마서에 나타난 바울의 예수상.”「기독교사상 424호」 (1994): 207-22.
· . “옛날 옛적 로마서에서는: 로마의 크리스챤 공동체의 기원과 형성.” 「신약논단원문 봄/11권 1호」(2004): 89-117.
· 정양모.「바울로의 친서이야기」서울: 성서와 함께, 1997.
· 정창균.「바울연구2」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 정태현.「성서입문」광주: 일과 놀이, 2001.
· 조갑진. “로마서 기록 동기에 관한 연구.”「신학과 선교」(1997): 211-52.
· 조선출.「로마서」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1.
· 차정식.「로마서주석Ⅰ」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성서주석 로마서Ⅱ」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차정식 외 12인.「신약성서개론」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최갑종.「바울연구Ⅰ: 바울의 생애와 사상」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 .『바울연구 II』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 . “로마서 중심주제와 그 구조.”「그 말씀 6월호」서울: 두란노 서원, (2000): 10-19.
· 최정만.「비교종교학」서울: 이레서원, 2005.
· 최정만.「신약배경으로 본 세계선교역사 Ⅱ」서울: 쿰란출판사, 2008.
· 최정일. “로마서의 강한 자와 약한 자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 최종상.「이방인의 사도가 쓴 로마서」신대현 역. 서울: 아가페출판사, 2003.
· 하문호.「기초 교의학」제5권. 서울: 한국로고스 연구원, 1991.
· 한천설. “로마서 설교를 위한 배경연구.” 「그 말씀 6월호」서울: 두란노서원, (2000): 20-9.
· 현경식, 한정호.「수사학적 성경해석의 이론과 실제」서울: 성성연구사, 1996.
· 홍인규. 「로마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서울: 성서유니온, 2001.
· 목회와 신학 편집부.「두란노 How 주석 39 」서울: 두란노 아카데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