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결과 및 고찰
제1절 이화학적 수질요인 분석
1. 수온
2. pH
3. DO (Dissolved Oxygen)
4. BOD (Biological Oxygen Demand)
5. SS (Suspended Solids)
6. 총대장균군수
7. 분원성대장균군수
8. 전기전도도(Conductivity)
제2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1. 분류군
2. 생물지수
제4장 결론
본문내용
본 연구는 북한산 주요계곡인 우이계곡과 북한산성계곡을 대상으로 이화학적인 수질요인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를 연구하였다.
이화학적인 조사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조사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우이계곡 3지점, 북한산성계곡 2지점을 선정하여 봄, 여름, 가을에 매1회씩 조사하였으며, 이화학적인 수질분석 항목은 수온, pH, DO, BOD, SS, 총대장균군수, 분원성대장균군수, 전기전도도이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종수와 개체수, 생물지수의 변화에 따른 우점종과 우점도지수, 종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를 분석하여 이화학적인 수질요인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총 분류군수는 4문 6강 11목 32과 96종으로 나타났다. 우이계곡에서는 3문 4강 9목 14과 35종, 북한산성계곡은 4문 6강 11목 18과 44종으로 북한산성계곡의 종구성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북한산성계곡의 유역이 우이계곡보다 넓고, 유량이 풍부하여 저서생물의 서식환경이 좋은 조건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우이계곡의 저서생물의 종수변화는 2002년 32종, 2003년 35종, 2004년 30종, 2005년 41종이며, 개체수 변화는 2002년 737개체, 2003년 502개체, 2004년 833개, 2005년 1,306개체로 점차 증가하였으나 2003년 개체수와 2004년에 종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였다. 그 원인은 pH와 분원성대장균군, 총대장균군의 오염원 증가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산성계곡의 종수와 개체수변화는 이화학적인 수질결과와 비슷하게 2002년에서 2005년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이계곡은 깔다구류가 4년간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북한산성계곡은 깔다구류, 꼬마하루살이, 실지렁이, 흰부채하루살이, 광택날도래 등 계절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북한산성계곡이 이화학적인 수질개선으로 다양한 우점종이 출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 이미옥, 1997, 청정 하천과 오염 하천에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비교.
· 이현철, 1993, 가평천과 왕숙천의 이화학적 수질요인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비교.
· 정은정, 200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성과 수질평가.
· 서미연, 1992, 북한산 주요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과 생물학적 수질평가에 관한 연구.
· 박은희, 1994, 북한산국립공원 지표수 화학성분의 시간적 변동에 관한 연구.
· 박지은, 2005, 오염정도에 따른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유형화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 이지연, 2005, 길안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동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에 관한 연구.
· 김정한, 2004, 오십천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분석 연구.
· 최상미, 2004, 고산천 수계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변동.
· 변종욱, 1980, 한강본류의 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수질분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순환, 2003, 안동호 주변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 어성준, 김동영, 2001, 서울․고양, 북한산 및 그 일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 황인이, 2005,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지수를 이용한 수질평가.
· 이영수, 1997, 황강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 평가에 관한 연구.
· 박택영, 1996, 하천의 환경변화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변동.
· 김기현, 2003, 청정 및 오염정도가 낮은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유형화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 배경석, 1993, 곡릉천에서 미소서식지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태학적 동태.
· 김시균, 1998, 북한산 국립공원의 물리 화학적 수질에 관한 연구.
· 윤일병, 배경석, 공동수, 1987, 낙동강하구의 이화학적 요인과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0 : 73 - 99.
· 윤일병, 배경석, 배연재, 어성준, 김기홍, 1986, 낙동강하구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19 - 38.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3,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1차, 181 - 277 : 439 - 469.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2차, 163 - 259 : 433 - 470.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3차, 43 - 87 : 147 - 194.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5,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4차, 139 - 172 : 201 - 233.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북한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65 - 188.
· 국립공원관리공단, 2003, 북한산(북한동․송추) 이주계획, 20 - 26.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