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原 萬福寺址 佛敎美術品 造成과 그 背景 (Buddhist stone art works at the Manboksa temple site in Namwon – with a focus on how they were made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1.03
28P 미리보기
南原 萬福寺址 佛敎美術品 造成과 그 背景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61호 / 33 ~ 60페이지
    · 저자명 : 진정환

    초록

    남원 만복사는 『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고려 문종 때(재위 1046-1083)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남원의 읍지인 『龍城誌』에는 신라 하대 도선이 창건하고 정유재란 때 폐사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 만복사지에는 석불입상, 오층석탑 등 다양한 佛敎美術品이 남아 있다.
    만복사지 불교미술품은 제작 시기가 부정확한 옥개석 부재를 제외하면, 모두 통일신라 불교미술품을 재현・모방한 고려전기 전통양식을 기반으로 남원지역에 토착화한 특정 형식이 결합한 양상을 보인다. 이뿐만 아니라, 11세기 중엽 불교미술품의 공통적인 특징인 괴체성이 감소한 석주형의 조형미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만복사지 불교미술품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듯 고려 문종 재위기에 조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만복사는 남원부의 불교의례 설행과 비보를 위해 호장층과 지역민이 참여하는 거군(현)적 향도결사가 주도하고 남원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던 장인이 참여하여 이루어졌다.
    이 연구로 첫째, 만복사가 고려시대 남원부의 불교 의례를 수행하고 비보를 기원하기 위해 조성한 자복사임이 밝힐 수 있었다. 둘째, 만복사 평면계획과 불교미술품의 배치 양상을 바탕으로 고려시대 불교사원 조영과 불교미술품 조성에 있어 비보사탑설이 가람 구조나 불교미술품 배치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소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려시대 불사의 주체가 국왕・귀족 등 소위 지배계층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호장층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民들이 주도하는 한편 지역의 장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불교미술품을 조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Revised edition of the Culture and Geographic Records of Korea), Manboksa Temple in Namwon was fou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r. 1046 - 1083) of Goryeo. Another material puts it differently. According to Yongseongji, a town chronicle of Namwon, the temple was founded by Monk Doseon toward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57 BC - 935 AD), and was destroyed during the Jeongyu War (1597-1598). Some stone Buddhist structures still remain at the temple site, including a standing Buddha statue and a five-story pagoda. It appears that they display specific localized styles based on the traditional styles of the early Goryeo Period (918 - 1392), which imitated or visually recomposed thos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 - 935), except for the components of their stone roofs. It is also highly likely that they were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as recorded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as they display the esthetic quality of the stone column-shaped objects with reduced lumpiness, a common feature of Buddhist stone art works of the mid-eleventh century. It is assumed that the art works at Manboksa Temple were made for Buddhist rites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Buddhism by a local association led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inhabitants, along with local handicraftsmen.
    This study has ascertained the following: First, Manboksa Temple was built for the performance of Buddhist rites designed to pray for the kingdom and to contribute to promoting Buddhism in the Namwon area. Second, the blueprint of Manboksa Temple and the locations of its stone art works followed the ‘Bibosatap’ theory, which served as a decisive factor in determining the layout of the temple’s buildings and the locations of stone art works in Buddhist temples during the Goryeo Period. Third, during the Goryeo Period, it was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inhabitant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duction of Buddhist art, along with the local handicraftsmen, rather than the ruling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