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풀 와이드 배너의 장면전환 움직임에 따른 감성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Full Wide Banner’s Scene Transition Movemen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1.01
10P 미리보기
풀 와이드 배너의 장면전환 움직임에 따른 감성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74권 / 299 ~ 308페이지
    · 저자명 : 이수정, 손원준

    초록

    바쁜 현대인들의 필수 유통채널로 자리 잡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은 주 광고매체인 배너광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미 오랜 시간 사용되어진 배너광고는 소비자들의 광고회피현상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에 소비자들의 만족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표현요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너광고의 장면전환 움직임에 차이를 두고 소비자들의 감성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움직임에 따른 감성선호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15쌍의 대표 감성어휘를 선정하고, 풀 와이드 배너에 카메라기법을 적용한 장면전환 16개를 제작한 후, 총 7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통계프로그램(SPSS)에 의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해 최종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성분분석 결과에 따라서 역동성, 무게감, 심미성에 해당하는 장면전환 움직임이 어디에 위치하는 지 알 수 있었고, 카메라기법에 따른 배너광고의 장면전환 움직임이 감상자의 감성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 배너광고의 장면전환이 소비자들의 흥미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쇼핑몰이 추구하는 감성마케팅에 따라 다양한 장면전환을 적용할 수 있고, 보다 적극적인 표현요소로 광고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카메라기법 장면전환 외에도 새로운 동적 장면전환 연구가 활성화되어 보다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장면전환 연구로 발전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Online shopping malls that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vital distribution channels for busy contemporary men and women, and the role of banner advertisement, a major advertisement outlet for such malls, is very important to the online shopping malls. Banner advertisements have been in use for a long time, and customers often seem to avoid said advertisements, requiring new expressional element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in customers’ sensibilities when the movements of scene change in advertisements are altered. Semantic Differential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ensibility preference according to movement change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72 people after 15 pairs of typical sensitive vocabulary were selected and 16 scene changes using camera technique on full wide banners were produced. Through these results, it could be inferred that scene changes in banner advertisements according to camera techniques showed sensibility difference in the viewer, and that the scene changes in preexisting banner advertisements appeared to have adverse effect in terms of customer interest. Also, it could be seen that various scene changes could be used for sensibility marketing effect desired by each shopping mall, and that advertisement impact could be had by using more active expressional elements. I hope that additional new dynamic scene change researches can be invigorated so that various more sophisticated scene change researches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