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양교육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 재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positioning General Education in the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3.02
13P 미리보기
교양교육의 &lt;학술연구분야분류표&gt; 재설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7권 / 1호 / 11 ~ 23페이지
    · 저자명 : 김기봉, 남진숙, 김혜영, 박병철

    초록

    최근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전담 조직과 교원의 수에서 가장 큰 성장을 했다. <한국교양교육학회>는 회원이 2,000명이 넘을 정도로 급성장했고, 교양교육연구 를 인용하는 IF (Impact Factor) 지수가 ‘복합학’에서 1위, 전체 학술지로는 7위를 차지할 만큼 학문적 성과도 비약적 성장을 했다. 한국에서 학문적 위상을 설정하는 좌표이면서 연구지원 사업을 위한 국가 R&D 예산의 몫을 분배하는 준거로 사용되는 것이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이다. 앞에서 열거한 한국교양교육학회의 규모와 저널의 수준은 ‘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로 위계화된 <학술연구분야분류표>에서 적어도 중분류 이상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교양기초교육’이란 이름으로 가장 낮은 단계인 세분류에 위치해있다. 이런 분류체계는 교양의 학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학술연구활동 및 연구지원에 있어 현실적으로 적절한 평가를 받기도 어려운 구조이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교양교육학회, 전국교양교육협의회,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은 연합해서 그런 모순을 시정하는 많은 시도를 지속적으로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노력을 역사로 정리하고,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정신에 부응해서 교양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상 위치를 어디에 그리고 어떻게 재설정할지에 대해 모색했다. 융합인재 양성을 요청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학문 분야의 분류(分流)가 아니라 서로 연결하는 합류(合流)를 지향하면서 교양 르네상스가 일어난다.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어디에 위치하느냐가 교양의 지식범주에 관한 문제라면, 우리 시대가 요청하는 교양의 개념화를 어떻게 하느냐로 그 이후의 분류방식이 결정된다. 교양의 범주와 개념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교양학’이란 학문 분야의 신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술연구분야분류표>에서 교양학의 학문적 위상을 위해, 다음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정신을 타고 대분류로 격상시키는 것이다. 둘째는 교양은 “인간이 알아야 할 거의 모든 지식”을 포괄하기에 문과 및 이과의 여러 기초학문의 중분류로 위치시키는 방안이다. 셋째는 종래 가장 유력하게 논의됐던 안인, 대분류 복합학의 중분류로 조정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재설정은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확보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학술연구분야분류표>를 구체적으로 3가지 안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학술연구분야분류에 대한 앞으로의 제도적 논의를 대비한 선제적인 준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general education has grown more sharply than ever in the number of dedicated organizations and professors in universities. The “Korea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has grown rapidly into an organization with more than 2,000 members, and its academic achievement has grown so rapidly that the IF (Impact Factor) of th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ranked 1st in the major category of ‘Complex Studies’ and ranked 7th among all academic journals.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is used as a coordinate for establishing academic status in Korea and as a criterion for distributing shares of the national R&D budget for research support projects. The organizational size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academic level of its journal definitely deserves a higher ranking than the ‘Medium Classification’ i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which is hierarchically divided into “Large Classification, Medium Classification, Small Classification and Detail Classification.” However, in reality, it is located in ‘Detail Classification’, which is the lowest rank under the name of ‘Basic and General Education’. This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receive an appropriate evaluation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and research support. Over the past decade, the Korean Association for General Education, the National Council for General Education, and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have continuously made many attempts to correct such contradictions.
    This study summarized the past efforts into a history of Korean general education and sought where and how we should relocate general education i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in order to live up to the spirit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alls for fostering convergence talents, a renaissance of general education designed for a fusion of the academic fields, is expected, instead of one that promotes specialization. If the placement of general education i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is a matter falls under the knowledge category, the subsequent classification method is determined by how, in our times, we can conceptualize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study the category and concept of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academic field called ‘General Studies’.
    This study proposes to set the academic status of ‘General Studies’ in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in the following three ways. The first option is to take the spiri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pgrade it to the ‘Large Classification’. The second option is to position it as a division of various basic studies in humanities and sciences, because ‘General Studies’ encompasses “almost all knowledge that humans need to know.” The third option is to adjust it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under the Large Classification of ‘Complex Studies’. Ultimately, the resetting of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is to secure the identity and independence of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esented three options for the <Classification Table of Academic Research Fields> and that it is a preemptive preparation for future institutional discussions on the classific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