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Smart PSS 시나리오 및 인클루시브(inclusive) 통합 플랫폼 제안 - 장애인과 노인을 중심으로 (Proposal of an Inclusive User-centered Smart PSS Scenario and Integrated Platform using Service Blueprints: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2.08
33P 미리보기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Smart PSS 시나리오 및 인클루시브(inclusive) 통합 플랫폼 제안 - 장애인과 노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5권 / 3호 / 197 ~ 229페이지
    · 저자명 : 홍희수, 신홍주, 구유리

    초록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진화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화는 혁신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사회적 약자로 분류되는 장애인과 노인에게는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노인 수요자 니즈를 바탕으로 그들의 실질적 활용을 고려한 스마트 제품-서비스 시스템(Smart PSS)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주요 삶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인클루시브(inclusive) 통합 플랫폼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문헌 고찰을 통해 장애인과 노인의 확장된 삶의 영역을 정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노인 대상의 Smart PSS 사례를 분석해 수요자 관점에서의 Smart PSS 주요 테마를 도출하였다. 또한, Smart PSS 활용과 관련한 페르소나 변인을 도출해 프로토-리서치 페르소나를 수립하였다. 이후, Smart PSS 주요 테마와 페르소나를 바탕으로 수요자·이해관계자 대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각 페르소나별 핵심 니즈와 서비스 개발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어 ICT 기술 및 정책 전문가 대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Smart PSS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로, 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노인 페르소나별 니즈를 도출하여 Smart PSS 솔루션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솔루션 활용 과정을 구체화한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둘째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중요하게 연결되고 통합될 수 있는 서비스 기능을 묶어 솔루션의 목적과 기능, 활용 공간에 따라 4가지의 인클루시브 통합 플랫폼을 도출하였다. 이는 ‘스마트홈 통합 플랫폼’, ‘헬스케어 통합 플랫폼’, ‘모빌리티 통합 플랫폼’, ‘커뮤니케이션 통합 플랫폼’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Smart PSS 모델링에 적합한 서비스 블루프린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플랫폼을 블루프린트로 시각화하여 설계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과 노인의 핵심 니즈를 기반으로 Smart PSS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시나리오 바탕으로 통합하여 포용적(inclusive) 통합 플랫폼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포용적 가치를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할 서비스 기능과 기준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터치포인트 연결을 기반으로 데이터 흐름을 가시화하는 Smart PSS를 위한 블루프린트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 플랫폼을 수요자 중심 관점에서 시각적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새로운 플랫폼이나 시스템에 대한 인사이트 및 실질적인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와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can provide innovative products or services, but it can cause social inequality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ho are classified as weak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mart product-service system (Smart PSS) solutions based on the needs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for their practical use. To propose an inclusive integrated platform, we integrate Smart PSS into a major area of life.
    Method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expanded living area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as established, and we developed the main themes of Smart PSS. This was derived from analyzing Smart PSS case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ith a perspective of consumers. In addition, a proto-research persona was established by deriving a persona variable related to the use of Smart PSS. Based on the main themes and persona of Smart PSS, in-depth interviews with consumers and persons concerned were conducted to derive core needs and service development directions for each persona.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and policy experts to develop Smart PSS solutions was considered feasibl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First, developing Smart PSS solutions were derived by the needs for each persona of the physically disabled, deaf, blind, and elderly, and based on this, we proposed a scenario that embodies the solution utilization process. Second, we integrated service functions that can be connected and integrated on a scenario-based basis, and we derived four inclusive integrated platforms according to the purpose, function, and utilization space of the solution, which was presented as 'Smart Home Integration Platform', 'Healthcare Integration Platform', 'Mobility Integration Platform', and 'Communication Integration Platform'. Specifically, we proposed a service blueprint framework suitable for smart PSS modeling, and through this, we visualized and designed each platform with a bluepri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s a Smart PSS solution based on the core needs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proposes an inclusive integrated platform by integrating it based on scenarios. Through this, we are able to propose criteria for basic service functions and standards for inclusive values. In addition, we develop a blueprint framework for Smart PSS that visualizes data flow based on touchpoint connections. Based on this, we visually design an integrated platform from a user-centered perspective. This perspective is expected to provide service providers with insights and practical service development process and structure for new platforms or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