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뮤지엄 아카이브의 참여형 디지털 플랫폼과 교육적 기능: 테이트의 ‘아카이브와 액세스 프로젝트(2013-2017)’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 Platforms of the Museum and Their Educational Uses: Focused on Archives & Access Project (2013-2017) of Tat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2.12
21P 미리보기
뮤지엄 아카이브의 참여형 디지털 플랫폼과 교육적 기능: 테이트의 ‘아카이브와 액세스 프로젝트(2013-2017)’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예술경영학연구 / 15권 / 3호 / 141 ~ 161페이지
    · 저자명 : 지가은

    초록

    본 연구는 첫째, 뮤지엄 아카이브가 참여형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이용자 참여 중심의 상호교류와 상생을 활성화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에 주목한다. 둘째, 뮤지엄 교육과 시각예술 아카이브라는 두 영역의 개념과 역할이 어떻게 디지털 환경에서 더욱 통합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 고찰한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의 국면은 뮤지엄이 개방, 참여, 공유라는 기조 아래 보다 전방위적인 디지털 플랫폼의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온라인이 유일한 소통의 방편이 되었을 때, 단계적인 중장기 디지털화 전략을 꾸준히 실천한 뮤지엄과 그렇지 못한 뮤지엄은 서로 다른 성패의 결과를 맞이했다. 그 가운데 2000년대 초반부터 뮤지엄의 운영 및 활동 전반에 단계적인 디지털화를 추진해 온 영국 테이트의 성공 사례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트 아카이브가 수행한 ‘아카이브와 액세스 프로젝트(Archives & Access Project, 2013-2017)’의 내용 및 전략 분석을 토대로,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불어, 팬데믹을 통과하면서 공공재로서 뮤지엄의 디지털 콘텐츠 가치가 부각되었다. 문화예술기관으로서 뮤지엄이 보유한 예술 지식과 기록 유산의 공공성은 단순히 디지털화로 인한 공유와 참여로부터 비롯된 것이 아니라, 뮤지엄과 아카이브가 시대적 사명과 함께 사회와 소통해 온 역사와 맥을 같이 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뮤지엄 교육과 아카이브의 접점을 개념적으로, 또 역사적으로 교차시켜 본다. 특히, 대중과 적극 소통하는 참여적 뮤지엄 교육과 권한을 이양한 개방형 아카이브의 등장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 패러다임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러한 두 흐름이 참여형 디지털 플랫폼에서 효과적으로 융합되고 있음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1) focuses on the educational program of a new communication mode operated by the museum archive through a participatory digital platform for activation of the user-centered mutual exchanges and co-existence, and 2) examines how the two different concepts and roles of the museum education and the visual art archive could function more integrally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the post-Covid19 age,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provided for a decisive momentum wherethrough the museums could explore an all-encompassing digital platform activation strategy. However, when the untact mode or ‘the online’ has become the only communication mode, the museums that could not afford to implement a phased mid- and long-term digitalization strategy would face quite different results from those obtained by their counterparts that have implemented such a strategy. Anywa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ate that has pursued a phased digitalization for their operation and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Archives & Access Project (2013-2017)’ implemented by Tate Archive and thereupon, inferred som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uses of the participatory archive platform.
    On the other hand, as the pandemic has swept us away, the value of the digital contents of the museum as the public properties has been highlighted. The public nature of the art knowledge and record heritage possessed by the museums as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does not simply means sharing and participation but connotes their historical miss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Accordingl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oss the education of the museums with their archives conceptually and historically. In particular, the study reviewed the post-modern paradigm or the urgency of an open archive, focusing on the participatory education and authority of the museum communicating positively with the people and emphasized an effective fusion of such two currents on the participatory digital plat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예술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