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플랫폼의 자사 서비스 우선에 대한 경쟁법의 쟁점 - Monopoly Leverage와 Equal Treatment를 중심으로 - (Competition Law Issues on Self-Preferencing by a Dominant Digital Platform)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0.09
43P 미리보기
디지털플랫폼의 자사 서비스 우선에 대한 경쟁법의 쟁점 - Monopoly Leverage와 Equal Treatmen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0권 / 3호 / 365 ~ 407페이지
    · 저자명 : 이봉의

    초록

    디지털경제에서는 플랫폼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대체로 플랫폼은 처음에 특정 무료서비스에서 출발하여 일정한 이용자를 확보하고 나면,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 특히 그간 확보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또는 다른 관련 기업을 M&A하는 방법으로 인접서비스로 진출하고 있다. 그 결과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가히 ‘복합기업의 귀환’(return of the conglomerate)이라고 할 만한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그 결과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던 플랫폼들 사이에 언제든지 경쟁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동태적 경쟁이 이루어지는 양면플랫폼시장에서 레버리지란 막연한 잠재적 설정(potential constellation)에 불과하며, 이를 근거로 남용규제를 정당화하기는 어렵다. 플랫폼의 다각화현상을 이론적으로도 다소 진부한 지배력전이의 관점에서 문제시하는 태도는 오히려 플랫폼 간 동태적 경쟁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디지털경제 하에서 남용규제는 플랫폼을 둘러싼 현재의 경쟁상황을 미래지향적으로 조망하고, 이를 통하여 가까운 장래에 해당 플랫폼이 어떻게 진화・발전해갈 것인지를 면밀하게 예측해보는 작업이 지극히 중요하다.
    구글 쇼핑 사건에서 드러난 유럽집행위원회의 레버리지에 대한 태도란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특수한 책임을 전제로 성과경쟁에 부합하지 않는 방법으로 인접시장에서 지배력을 형성 또는 강화하는 행위를 남용으로 파악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핵심개념은 바로 ‘성과경쟁’이고, 이 사건의 핵심쟁점은 구글이 경쟁사업자의 비교쇼핑서비스를 후순위에 위치하도록 알고리즘을 설정하는 행위가 과연 성과경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이다. 그런데 성과경쟁이란 지극히 난해한 개념이어서 자칫 경쟁당국이 이를 남용할 경우에는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소비자후생을 증대시키는 서비스 제공조차 남용으로 보아 과도하게 금지됨으로써 오히려 플랫폼경제에서 나타나는 동태적 경쟁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플랫폼이 혁신적인 서비스를 통하여 인접시장에 진입하여 점유율을 꾸준히 증대시키고 있다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경쟁의 결과로 보는 것이 현실에 부합할 것이다.
    공정거래법상 시장지배적 지위남용 여부를 심사함에 있어서도 레버리지이론을 고려할 법적 근거는 없다. 실무도 레버리지를 남용 판단에 고려할 수 있을 만큼 구체적인 개념과 요건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방해・배제남용에 관한 포스코 판결이 제시한, 나름 확고한 부당성 판단에는 경쟁제한의 효과와 그러한 효과를 야기하려는 의도・목적이 요구될 뿐이고, 여기에 레버리지이론을 동원해야 할 필요성이나 실익을 찾기 어렵다. 단지 경쟁당국의 입증 상 편의를 위하여 레버리지를 운운할 수는 없는 일이다. 다만, 경쟁제한의 의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시장지배적 플랫폼이 인접시장에서 지배력을 확장하려는 유인과 의도를 갖는지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자칫 레버리지이론을 플랫폼의 성공적인 서비스 확장에 독점력의 확장(extension of monopoly power)이라는 족쇄를 채우는 당연위법식의 법집행에 활용하려는 태도는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레버리지이론은 경제이론상으로도 그 근거가 약하고, 공정거래법의 해석론으로는 불필요하거나 기존 판례와 부합하지 않으며, 경쟁정책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영어초록

    1. In the digital economy, platforms are forming the mainstream. In general, the platform initially starts with a specific free service and after securing a certain number of users, it extends its activities to adjacent services based on innovation, technology and know-how, especially big data so far, or by M&A with other related companies. As a result, the “return of the conglomerate” in online platforms is becoming a striking phenomenon. Here, competition can be formed at any time between platforms that were active in different fields. Therefore, in a two-sided platform market where dynamic competition takes place, leverage is only a vague potential constellation, and it is difficult to justify abuse regulation based on this. The questioning the diversification of platforms from the perspective of leveraging, which is proved theoretically out-of-date, may rather hinder dynamic competition Under the digital economy,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forward to the current competition situation surrounding the platform and to closely predict how the platform will evolve and develop in the near future.
    2. The European Commission's attitude toward leverage revealed in the Google Shopping case of 2017 is that it is an abusive conduct to extend existing market power into adjacent markets in a way that is beyond competition on the merits on the premise of the special responsibility of the market dominant undertakings. Here, the key issue is whether or not Google abused its market dominance as a search engine by promoting its own comparison shopping service in its search results, and demoting those of competitors. However, “competition on the merits” is a vague concept, so if the competition authorities abuse it, it may hinder dynamic competition that appears in the platform economy. It must take into account the point that if a platform enters adjacent markets through innovative services and the steady increasing its market share is deemed to be natural outcome of competition.
    3. There is no legal basis for considering leveraging or leverage theory as far as the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is concerned. Practices of the KFTC and Korean Supreme Court have not yet accepted leveraging abuse. Furthermore, the anti-competitive effects and the intention of such effect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illegality of the challenged conduct of a market dominant undertaking.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necessity or actual benefit to mobilize leverage theory. However, in determining the intention of anti-competitive effects, it may be considered whether the market dominant platform has incentives and intentions to expand its dominance in adjacent markets. It must be refrained to use leverage theory for the purpose of filling the shackles in the successful service expansion of the innovative platform. Leverage theory is unnecessary or inconsistent with existing precedent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 and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competition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