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애니메이션을 활용한중국어 교수학습 자료 제작방안 연구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Chines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sing animation –based on online platfor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3.12
31P 미리보기
애니메이션을 활용한중국어 교수학습 자료 제작방안 연구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3호 / 99 ~ 129페이지
    · 저자명 : 정상현

    초록

    다양한 외부 요인들로 인해 중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 시장 상황에서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수요에 부응하는 교수학습자료를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텍스트 기반의 평면적이고 전통적인 교재를 벗어나 애니메이션이라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공하는 영상 및 음성자원 그리고 자막 텍스트를 입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제작한다.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중국어 학습 자료 제작을 위해 학습자들의 의견을반영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발화 연습, 반복적인 듣기 학습, 어휘 학습에 흥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회화 학습의 콘텐츠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할 때 기대가능한 장점을 최대한살리기 위해서는 작품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2021년 중국에서 상영된 <웅사소년>(雄狮少年)은 생활밀착형 회화 표현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농민공’과 ‘유수소년’을 통해 드러나는 중국 농촌사회의 단면, ‘사자춤’이라는 전통문화 요소까지 모두 담고 있는 작품이지만, 중국어 수업 현장에서 교육콘텐츠로서 의미 있는 자료인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대사에서 노출되는모든 텍스트의 형태소 분석 결과를 HSK 급수별 어휘와 빈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웅사소년>은 HSK 관련 어휘가 모든 구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초중급 단계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난이도 분포를 띄고 있음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인 Padlet, Wordwall, Classcard, Quizlet을 활용한 입체적인 수업자료 제작을 시도하였으며, 학습의 흐름을 학습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모든 요소를 배치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교수-학습 자료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매우 효율적인 시청각 자료가 된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자료를 실제로 제작해 본 후 전체적인 과정을 서술한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중국어 교육에 접목시키는 데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영어초록

    With the objective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a market where the demand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has declined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ailored to meet learners’ needs. Going beyond traditional flat and text-based textbooks, the study produced learning materials through an online platform capable of utilizing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animation and subtitle text,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learning experience enriched with video and audio resources.
    To ensure the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hinese learning materials,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learners’ opinions. The survey results confirmed that most learners showed interest in speech practice, repetitive listening learning, and vocabulary learning. When employing animation for conversation learning, the careful selection of appropriate works becomes crucial to maximize the expected benefits. In this context, the animation “I Am What I Am(雄狮少年)” which was screened in China in 2021, stood out for its abundance of conversational expressions closely reflecting daily life, its portrayal of various aspects of Chinese rural society through “Rural migrants” and “child left behind,” and its inclusion of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 of “Lion Dance.” Nevertheless, it was essential to ascertain whether it could be considered meaningful educational content in the context of Chinese language classes. To address this, a morpheme analysis of all texts exposed in the dialogue was performed, focusing on vocabulary and frequency based on HSK levels. The analysis objectively verified that “I Am What I Am” featured a well-distributed distribution of HSK-related vocabulary across all sections, making it suitable for learners at the beginner-intermediate leve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create three-dimensional teaching materials using online platforms such as Padlet, Wordwall, Classcard, and Quizlet. The arrangement of all elements aimed to provide learners with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flow.
    Teaching-learning materials utilizing online platforms proved to be highly effective as audio-visual resources for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This study, which chronicles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producing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an online platform, holds significant value as it offers practical reference materials to researchers interested in incorporating digital technology into Chines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