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툰 플랫폼의 공동독서와 그 정치미학적 가능성 (Co-Reading in Webtoon platform and its political aesthetic possibilities)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6.08
51P 미리보기
웹툰 플랫폼의 공동독서와 그 정치미학적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2권 / 3호 / 119 ~ 169페이지
    · 저자명 : 김건형

    초록

    웹과 스마트폰의 예술인 웹툰은 기존 출판문예와 달리 작가의 등단부터 게재까지 독자가 결정하며, 이는 작품과 그에 대한 타인의 독해인 ‘덧글’을 병치하는 웹툰 플랫폼에서 연유한다. 본고는 타인의 읽기를 같이 읽는 웹툰 특유의 공동독서가 근대 이전 공동체적 독서에서 공동감을 생성하던 감성의 정치와 유비되는 정치미학적 효과를 산출함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작가와 독자가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공유하는 일상툰에 나타난 소통양상에 주목했고, 웹툰 플랫폼의 독서방식이 산출하는 정치미학을 살폈다. 장애이해가 일방적인 동정이나 경탄으로 이어지는 독서를 독자들이 서로 수정하는 <나는 귀머거리다>, 성소수자의 보편적 일상을 그리면서 독자와의 소통을 통해 작가 자신의 성정치적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모두에게 완자가>, 타자의 재현에 대한 독자의 동화주의적 요구와 반목하고 그 균열을 제시하며 타자성을 고수하는 <이게 뭐야>의 플랫폼의 공동독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웹툰 플랫폼이 활발한 독자-독자, 독자-작가의 상호소통을 유발하며 그것이 창작과 독서의 준거임을 확인했다. 웹툰 플랫폼과 공동독서에 주목하는 관점은 향후 연구에서 웹툰의 상호소통적 매체론과 그 효과를 부각할 것이다. 또한 웹툰처럼 공동감을 나누게 하는 플랫폼(매체)이 비가시화 되어 있던 타자들의 재현을 정치로 부상시킬 가능성을 제기한다.

    영어초록

    Webtoon, an art of the web and smartphones, is different from the usual publishing culture in that readers decide an author's debut and her work's publication.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webtoon's platform allows for the juxtaposition of her work and her readers' comments. This paper focuses on how webtoon's co-reading,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readings of others, gives rise to a politico-aesthetic effect similar to the emotional aspect of the pre-modern form of common reading that so often has provided a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focus on the political aesthetics of the form of reading enabled by the webtoon platform, this paper looks at the politico-aesthetic nature of diarytoon's reader-author communication, which shapes and shares the process of the author's as well as readers' identity formation. To that end, this paper looks at three works: <나는 귀머거리다>, whose readers correct their own initial reading that viewed disabilities as something either to be pitied or to be awed, <모두에게 완자가>, whose author shared how her gender politics evolved by communicating with her readers about her ordinary experience as a sexual minority, and <이게 뭐야>, whose author resisted the readers' demand as to how the other should be represented, tried to crack its assimilated representation, and ultimately put it in a positive light.
    All this shows that the webtoon platform induces active reader-reader as well as reader-author engagement, showing it to be a place where the work is created and read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webtoon’s platform and co-reading, this paper shall emphasize its mutually communicatory feature as a form of media and its effect. Furthermore, it will be shown that webtoon with above mentioned features could elevate hitherto unknown ordinary experience of the other into a political m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