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OER 플랫폼 분석을 위한 지표 개발 및 분석의 실제 (A Review of Selected OER platforms through the Developed Analysis Indicator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6.09
22P 미리보기
OER 플랫폼 분석을 위한 지표 개발 및 분석의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22권 / 3호 / 561 ~ 582페이지
    · 저자명 : 신나민, 전명운, 김수연

    초록

    OER(Open Educational Resources: 공개교육자원)의 등장은 교육에 있어 변화와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자원과 실천의 공유 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OER 플랫폼은 이러한 이념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서비스 기술이다. 본 연구는 OER 운동의 실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플랫폼의 설계,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를 얻기 위하여 1) 현재 운영되고 있는 OER 플랫폼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2) 이 개발된 지표에 비추어 국내외 대표적인 OER 플랫폼 21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써 ‘기술’(디자인, SNS, 모바일 앱, 다국어지원, 검색방법, 대시보드), ‘내용’(저작권, 메타데이터, 질 관리, 콘텐츠 유형), ‘운영’(사용자 참여, 소통, 운영팀, 법인형태, 사용자대상, 자료수집의 지속가능성, 개방서, 이용가이드, 이수증)의 세 영역 과 23개 하위 문항으로 구성된 분석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이 지표들에 근거하여 국내 5개, 국외 16개의 OER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1) 자료 공개 수준, (2) 모비일 및 SNS 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티 학습 지원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 (3) OER 질 관리에 대한 두 가지 서로 다른 입장, (4) OER 사용자와 운영 주체 간의 소통 및 자료수집에의 사용자 참여 등이 OER 플랫폼의 활용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d two purposes: (1) to develop a set of analysis indicators through which users can review OER (Open Educational Resources) platforms and (2) to review selected OER platforms to get insights into contemporary practices of OER in Korea and overseas as well. For the purpose, we took both the deductive (from previous studies) and inductive (from the actual analysis of selected 21 OER platforms) approaches to develop the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we could come up with a set of analysis indicators consisting of three areas including 23 questioning items: technical (design, SNS, mobile App, subtitles, search method, dashboard), content (copyright, meta-data, quality control, types of content), and management (user participation, communication, management board, types of institution, target audience, sustainability of data collection, openness, guideline, and certificate). We, then, reviewed the selected 5 Korean and 16 overseas OER platforms by means of the developed analysis indicators to result in the following observations across the platforms: (1) the level of openness of OER platforms, (2) incorporating mobile and SNS media to facilitate learning in and out of learning community, (3) the coexistence of two differing quality control approaches for OER, and (4)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OER providers and users with the possibility of user participation in collecting OER.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s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OER platforms which function with high availability and sustainability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