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폰 영화제작 교수법을 통한 예비교사의 교직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 of the Pre-service Teachers’ Viewpoint about School Teachers through a Smart-phone Film-Making Instruction Method)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스마트폰 영화제작 교수법을 통한 예비교사의 교직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32권 / 4호 / 173 ~ 197페이지
    · 저자명 : 한은정

    초록

    지식창조사회의 도래에 따라, 교사에게도 창의성, 상상력, 통찰력, 심미안 등의 사고 능력을 바탕으로 하여, 지식을 활용하고 창조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교사양성교육은 교수자 주도의 이론 중심적인 수업과 형식적인 운영 등으로 인해, 예비교사들에게 이러한 사고 능력을 함양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양성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이 기존의 과학적, 합리적 사고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사고를 경험하고 학습하기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직과 교사> 수업에 스마트폰 영화제작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교직과 교사에 관한 학생들의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2년 1학기 S대학교의 수업에 참여한 총17명의 학생이며, 2012년 4월 13일부터 6월 14일까지의 총 9주에 걸쳐 수합된, 총 147편의 개인 저널과 수업관찰일지, 면담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직과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주제는 신입교사의 교직사회화와 인간관계, 교사양성제도 등으로 주로 교직 입직 단계의 주제에 집중되었으며, 법규나 제도적 측면보다는 학교 현실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과 교사에 관한 선행 인식 및 관점은 “학생의 입장에서”의 교사에 대한 이해, 교사의 “모범”적 삶에 대한 당위적 인식, 교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은 영화 제작 과정을 통한 학습을 진행하면서, “학생의 시선에서 교사의 시선으로” 변화, 교사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형성 등 교직과 교사에 관한 관점이 보다 확장되고 수용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어초록

    With the advent of a knowledge-creating society, creativity and emotional competencies such as harmony and sympathy have been emphasized. Hence, teachers as well have been required to manage and create a knowledge on the basis of a sense of creativity, imagination, insight, and aesthetic. Howeve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o far has hardly focused on such competencies due to the lessons that were instructor-centered, theory-focused.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and apply an alternative instruction method that would improve the knowledge-creating competency.
    This study applied smart-phone film-making instruction method to 「Schoolteachers」 course design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a semester, and analyzed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For this purpose, personal journals and team portfolios were collected. Also, course observation reports and interview data were included as a complementary material. Then, they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perspectives towards school teachers were reflected as topics for their films, most of which were related to the initial stag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ance, they were interested in teacher socialization,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lso, their interests were characterized as understanding of a teacher from student’s perspective, a question for a teacher’s normative model, and reflection on preconceived idea of school principals. Second, students have changed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school teachers through learning. While they focused only on issues around them at first, they have widened their horizons to a school organization and a teaching profession. Moreover, they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s towards teaching profession and school teachers throughout the 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