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풍납토성 평기와의 제작공정에 따른 제작기법 특징과 변화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at Roof Tiles of Pungnaptoseo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3.11
32P 미리보기
풍납토성 평기와의 제작공정에 따른 제작기법 특징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18호 / 131 ~ 162페이지
    · 저자명 : 소재윤

    초록

    한성백제 기와 중 다양한 형식과 월등한 출토량이 확인된 유적은 단연 풍납토성이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기와를 검토함으로 한성백제 기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와의 제작과정은 전통 한식 기와에 대한 제작과정을 토대로 채토, 흙고름, 흙벼늘 작업, 소지 작업, 기와 성형, 건조, 구움 순으로 나가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들 제작과정을 역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평기와를 대상으로 관찰·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보면 풍납토성, 즉 한성백제 중앙지역의 평기와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정질을 중심으로 하는 태토, 점토띠와 점토판 소지 사용, 사절흔 확인 및 종방향 다무락 쌓기, 무와통과 원통와통·모골와통의 혼용, 전면 혹은 상하단 물손질 및 깎기 조정, 무문과 격자문을 위주로 하는 문양, 단판 타날판을 이용한 종방향 타날, 갈대 통보와 윤철흔·합철흔 확인, 다양한 와도처리 흔적, 3분할 기와, 짧은 등기와 및 유단식 암키와 존재, 형식적인 미구부 그리고 회색계 위주와 갈황색계 색조의 존재 및 연질 위주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시기에 따른 제작기술은 3분할 기와의 감소, 격자문과 선문의 선호도 증가, 미구기와 증가에 따른 수키와 유단식 와통 증가, 모골 와통 증가 등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제작기법상의 특징으로 미루어 평기와의 경우 초기에는 낙랑의 영향과 재지의 토기공인의 제작전통이 공존하여 계속 이어지게 되는데 후기에 들어 고구려의 영향도 일부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제작기술의 변화는 현재까지 모든 유구에서 단절적 발전과정을 거치기보다 점진적인 발전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던 것은 평기와의 선별 조사가 아닌 전수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선별조사는 엄청난 기와 출토량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겠지만 평기와의 변화에 대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전시기의 기와가 이런 전수 조사방법을 선택하여 실시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mongst the roof tiles of the Hanseong phase of the Baekje Kingdom, those from Pungnaptoseong are of the highest quality and comprise a wide range of styles. Therefore, an examination of these Pungnaptoseong roof tile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Hanseong Baekje roof tile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roof tiles consists of the following stages: clay selection, the addition of plant fiber to the clay, base clay preparation, roof tile forming, drying and firing.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is process from the production traces that can be found on excavated flat roof tiles.
    The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from the Baekje center (i.e. Pungnaptoseong) in the Hanseong period are as follows: crystalloid clay composition, the use of clay belts and boards, cutting traces and the lumping of rectangular clay section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acts different types of molds were used(e.g. the tube-shaped mold and the ‘mogol’ mold) or were not used at all, the trimming or paring of the overall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using water, the absence of decorative patterns or the use of a checkered design, the use of a short paddle u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producing the checkered design, trace using reed instead of fabric, sewing traces called ‘yuncheolheun’ and ‘hapcheolheun’, a variety of traces associated with side division, roof tile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presence of short back-roof tiles and ‘L’-shaped concave roof-end tiles, the stylized connection parts of convex roof tiles, the generally soft texture and gray or brownish color of the roof tiles.
    Diachronic change in production techniques can be observed in the decrease in roof tile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increase in the preference for checkered and line pattern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L’-shaped and concave roof-end tile mold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nvex roofing tile with connection parts, and the increase of ‘mogol’ mold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these Hanseong Baekje flat roof tiles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both traditional and Lelang ceramic traditions. Goguryeo ceramic technology also appears to have had an influence in the late Hanseong period.
    It can be suggested that flat roof tile production experienced a gradual, rather than punctuated, developmental process. Such a trend could be confirmed becaus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a total (vis-à-vis selective) investigation of the flat roof tiles. Selective studies on roof tiles are understandably undertaken due to the huge amount of excavated material bu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otal investigation is needed in other to obtain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oof ti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