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히브리서 3:7-19의 시편 95편 사용-히브리서 3장의 구원론적 해석 (The Use of Psalm 95 in Hebrews 3:7-19 - A Study of the salvation in Hebrews 3)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8.06
32P 미리보기
히브리서 3:7-19의 시편 95편 사용-히브리서 3장의 구원론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5권 / 2호 / 435 ~ 466페이지
    · 저자명 : 최영숙

    초록

    히브리서 3:7-19는 가데쉬 사건을 다룬 민수기 14장에 배경을 두고 있다. 그런데 만약 히브리서 저자가 땅 또는 안식을 잃어버릴 위험(3:12-4:2,11)만을 청중들에게 경고하기 위해서라면, 왜 직접 민수기 14장을 사용하지 않고 시편 95편을 사용하고 있을까? 그 이유로는 첫째, 시편 95편이 여호와께 신실함과 순종을 요구하는 신명기 사상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편 95편의 신명기 사상이 히브리서 3장에서 의도하는 구원론적 담론을 논의하기 위해 훨씬 더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둘째, 시편 95편은 원래 성전제의(95:1-7a)와 출애굽 광야 공동체(95:7b-11)라는 서로 다른 삶의 자리를 가진 두 시를 연결하여 구원의 초대를 노래한다. 비슷하게 시편 3장에서도 신실함으로 구원의 길을 여신 그리스도(3:1-6)와 광야의 출애굽 공동체(3:7-19)를 연결하여, 구원의 메시지를 선포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히브리서 저자가 안식에 들어감(히 3장)이라는 구원을 선포하기 위해, 시편 95편을 인용할 뿐만 아니라 해석도 하고 있다는 점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히브리서에서는 모세-그리스도 관계가 다른 곳에서보다 좀 더 긍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도 논의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rgument that the narrative of Israel’s wilderness disobedience in Num 14 provides a backdrop for Heb 3:7-19 has been generally accepted in Hebrews scholarship. Yet if the argument functions primarily to warn the audience of the dangers of missing out on the land/rest, then what is the reason that the author of Hebrews does not simply refer the audience to the narrative or events of Num 14? Why did the author cite not directly Num 14, but Ps 95? First, Hebrews’ rhetoric in the pericope and its exegesis of Ps 95 is better explained by appealing to a deuteronomic thought, rather than that of Numbers. That is why Ps 95 is much more suited as a discussion for the soteriological discourse in Heb 3, which enters into 'rest' through Jesus Christ. Second, Ps 95 sings about the invitation of salvation by linking two poems, each with its own different place in life: the temple (95:1-7a) and the exodus community in the wilderness (95:7b-11). Similarly, Heb 3 also proclaims a message of salvation to enter God's rest by connecting Christ (3:1-6), who opens the way of salvation with faithfulness, and the exodus community in the wilderness (3:7-19). In this context, this paper will discuss that the author of Hebrews is focusing on the salvation of entering the rest by newly reinterpreting Ps 95. Furthermore, it will also discuss that Heb 3 does not negatively portray the relationship of Moses-Christ, but presents Moses as the first savior who led the first exodus and Jesus Christ as the second Savior who led the new exod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