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一然의 國王觀 - 『三國遺事』 「紀異」 편을 중심으로 - (Ilyeon's Aspect to the K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一然의 國王觀 - 『三國遺事』 「紀異」 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33호 / 71 ~ 100페이지
    · 저자명 : 박미선

    초록

    일연이 살았던 13세기는 무신정권, 몽골과의 전쟁, 원의 간섭에 이르기까지 혼란의 시기였다. 20년 남짓 은둔 생활을 하던 일연은 1249년 활동을 시작하였는데, 몽골과의 화친이 추진되고 왕정복고가 이루어지면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나갔다. 이러한 행적에서 일연은 최씨 무신정권에 대해 부정적이었고, 반대로 국왕에 대해서는 적극 지지하는 입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연은 국왕 권력의 확립을 고려사회의 당면과제라고 여겼고, 이에 왕들의 신이한 행적을 담은 「기이」편을 『삼국유사』 첫 머리에 수록하였던 것이다.
    불교경전에서 왕을 天子 또는 天의 보호를 받는 자로 설명하며, 외적을 방어하여 국토를 수호하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되게 하는 것을 왕의 임무라고 하였다. 『삼국유사』 「기이」편에서 천 또는 천손으로 각국 시조의 모습을 담고, 천신의 보호를 받는 왕의 모습, 국토 수호와 백성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는 왕의 모습, 한편으로 이러한 임무를 다하지 못해 천신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왕의 모습 등을 담고 있다. 이러한 불교적 국왕관에 입각했을 때 일연이 생각한 이상적인 국왕상은 ‘문무왕’이었다고 짐작된다. 문무왕은 一統三韓을 이루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였으며, 죽어서도 용이 되어 국토를 수호하고자 하였다.
    일연은 신이한 행적을 통해 왕권의 신성함과 신성한 왕의 올바른 통치를 강조하고자 「기이」편을 찬술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13th century Korea, Ilyeon lived as a Buddhist monk. It was a period of confusion plagued with the Military Rule, war with Mongolia, and political intervention of the Yuan Empire. In 1249, Ilyeon energed from a life in seclusion became actively involved with Korea’s royal household as amity with the Mongols was strived and the power of monarchy over the nation was restored. From recorded history Ilyeon held a negative stance against the Military Rule, and enthusiastically supported the king Korea. Ilyeon deemed political power of the king be firmly established in Korea.
    Ilyeon claimed the Buddhist sacred texts depicted king as a being protected by the son of Heaven or the Heaven. He also stated it the king’s duty to guard against foreign threats, protect the nation’s, and life of its people flourish. In Samgukyusa, chapter of Giyi accounts all the dynasties Korea where the founders of each nation were deemed the Son of Heaven or the Heaven, and were portrayed as protected by sky gods, strived to guard the nation, and to secure the prosperity of their people. In certain instances they were depicted as being abandoned by the sky gods for not fulfilling the duties. Ilyeon King Munmu as an ideal monarch. King Munmu not only unified the three kingdoms of the peninsula but brought peace, and committed himself to protect his country even in death by turning into a dragon.
    Ilyeon desired to emphasize the sacredness of sovereignty and the importance of the fair and just rule of a divine king, with this intention he wrote the chapter of Giyi and placed it at the outset of Samgukyu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