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곡 우조 편(編)계통 악곡 연구 (A Study of Gagok Songs Classified as Ujo Pyeon(編))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가곡 우조 편(編)계통 악곡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5권 / 97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화복

    초록

    본 연구는 우조 ‘편(編)’ 계통 악곡이 처음 보이는 금보인 『소영집성(韶英集成)』(1822)의 <(우)편삭대엽>과 『희유(羲遺)』의 <편락>, 『방산한씨금보(芳山韓氏琴譜)』(1916)의 <우편>을 중심으로 19세기 초반부터 현행(現行)까지의 우조 ‘편’ 계통 악곡의 관련성 및 형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19세기 초반 『소영집성』의 우조 ‘편’ 악곡인 <(우)편삭대엽>을 ‘농(弄)․낙(樂)’에서 간점(間點)을 뺀 선율과 비교한 결과, <(우)편삭대엽>은 <(우)낙수조>와 다르고 <율당삭대엽>과 대부분 일치한다. 따라서 19세기 초반 우조 ‘편’은 ‘농’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19세기 중반 『희유』의 우조 ‘편’ 악곡인 <편락>을 ‘농․낙’과 비교한 결과, <편락>은 <우락>과 다르고 <우롱>과 대부분 일치한다. 따라서 19세기 중반의 ‘편’도 ‘농’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19세기 초반 『소영집성』의 <(우)편삭대엽>과 19세기 중반 『희유』의 <편락>은 모두 ‘농’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영집성』의 <(우)편삭대엽>과 『희유』의 <편락>은 거의 모든 선율이 일치하여 동일한 악곡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9세기 초반에 처음 보이는 우조 ‘편’ 악곡은 악곡명만 변화하였을 뿐 19세기 중반까지 연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19세기 중반 『희유』에는 악조별로 <(우)언편>과 <(계)언편>이 보이는데, <(우)언편>은 현행 <편락>에 해당하고 <(계)언편>은 현행 <언편>에 해당하며, 『희유』의 <편락>은 현행 <편락>과 다른 우조 ‘편’ 악곡임을 알 수 있다. 이렇듯 『희유』의 <(우)언편>과 <편락> 등이 다른 금보 및 현행의 악곡명과 다른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악곡명이 잘못 기록되었을 가능성과 『희유』를 활용한 풍류 집단에서는 악곡명을 달리 불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20세기 초반의 우조 ‘편’ 악곡인 『방산한씨금보』 <우편>의 초장․2장은 『방산한씨금보』 <편락>의 초장․2장과 동일하고, <언락>의 초장․2장에서 간점을 뺀 선율과 유사하다. <우편>의 4장은 <우편> 2장과 동일하고, <우편>의 3장․중여음․5장․대여음은 <우락>에서 간점을 뺀 그것의 선율과 유사하다. 따라서 『방산한씨금보』의 <우편>은 <편락>, <언락>, <우락> 등 ‘낙’과 관련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현행 <우편>은 『방산한씨금보』 <우편>과 3장의 각(刻) 수만 다를 뿐 대부분의 선율이 동일하다. 따라서 현행 <우편>은 『방산한씨금보』 <우편>과 사설만 다를 뿐, 동일한 악곡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19세기의 우조 ‘편’ 악곡은 ‘농’과 관련 있고 20세기 ‘편’ 악곡은 ‘낙’과 관련 있어,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된 악곡임을 알 수 있다. 19세기의 우조 ‘편’ 악곡은 19세기 후반까지 편가(篇歌) 형식이 완성되고, 우조 ‘편’이 편가에서 소외되면서 점차 쇠퇴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높은 선율을 연주하는 ‘쇠는 가락’의 악곡이 가곡에 정착되어 가는데, 비교적 낮은 선율인 19세기 우조 ‘편’ 악곡은 20세기 정서와 맞지 않아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편가에서 주로 불리고 앞을 쇠는 <편락>, <언락>과 <우락> 등 ‘낙’의 영향은 받은 새로운 ‘편’ 악곡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로 우조 ‘편’ 악곡의 발생 시기를 19세기 초반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게 되었고, 그 악곡이 그대로 남아있지 않고 20세기에는 19세기와는 다르게 형성된 우조 ‘편’ 악곡이 정착되어 지금까지 연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have examined how pyeon 編 songs in ujo have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and how they relate to one another, as manifested by (U) Pyeonsakdaeyeop in Soyeongjipseong 韶英集成 (1822), a manuscript book that contains the first pyeon song in ujo; Pyeollak in Huiyu 羲遺; and Upyeon in Bangsanhanssigeumbo 芳山韓氏琴譜 (19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comparison of (U) Pyeonsakdaeyeop from Soyeongjipseong, a pyeon song from the early 19th century, with melodies with their passing tones eliminated from nong 弄 and nak 樂 has proved that (U) Pyeonsakdaeyeop differs from (U) Naksujo, but is almost identical to Yuldangsakdaeyeop, which demonstrates that pyeon in ujo of the early 19th century is closely related to nong. A comparison of Pyeollak from Huiyu, a pyeon song in ujo from the mid-19th century, with nong and nak has proved that Pyeollak is different from Urak even though it corresponds to Urong for the most part, which in turn demonstrates that pyeon in the mid-19th century was also connected to nong. In short, (U) Pyeonsakdaeyeop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Pyeollak of the mid-19th century are virtually identical as most of their melodies correspond and they both have a great deal to do with Nong. It is thus obvious that the pyeon music, which appeared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lasted into the middle of the century but took on a different name.
    Incidentally, Huiyu also contains Eonpyeon in both keys (ujo and gyemyeonjo), and the former corresponds to the current version of Pyeollak while the latter corresponds to today’s Eonpyeon. It is clear that the version of Pyeollak in Huiyu is a different type of ujo pyeon music from its modern-day equivalent by the same name. It is uncertain why the songs (U) Eonpyeon and Pyeollak in Huiyu have different names in other manuscript books and in today’s repertoire, but they could possibly have been recorded under the wrong title or the pungnyu group that used Huiyu may have referred to them by different names.
    The first two sections of Upyeon from Bangsanhanssigeumbo, a pyeon song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re identical to the first two sections of Pyeollak from the same book, and are similar to the first two sections of Eollak with passing tones removed. The fourth section of Upyeon is the same as its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the interlude, the fifth section, and the postlude of Upyeon are similar to Urak without passing tones. All of these show that Upyeon of Bangsanhanssigeumbo has a great deal to do with nak songs, such as Pyeollak, Eollak, and Urak. The current version of Upyeon is basically the same as its variation in Bangsanhanssigeumbo apart from the number of rhythms in the third section; they are practically the same except for their tex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yeon music in ujo of the early 19th century is related to nong, while pyeon of the following century is to do with nak and that they thus develop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ujo pyeon music of the 19th century seems to have declined as pyeonga (篇歌) evolved into a full form by the end of the century, leaving out ujo pyeon. Besides, it appears that as gagok was gradually raised by an octave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ujo pyeon music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in a relatively low range, naturally fell away as it did not go down well with the new generation, and the new pyeon music, influenced by nak songs like Pyeollak, Eollak, and Urak, which had been mainly sung in pyeonga and had a raised beginning, gradually came into being. This study has thus taken the beginning of the ujo pyeon music back to the early 19th century and has demonstrated that old form did not last; a new form replaced it with the same name in the 20th century and has since been in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