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수길의 <이런 춘향>에 나타난 에로스 차용양상과 의미-고전 <춘향전>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The borrowing aspects of eros and the significance in This Chunhyang-At the center of pastiching Chunhyangje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안수길의 &lt;이런 춘향&gt;에 나타난 에로스 차용양상과 의미-고전 &lt;춘향전&gt;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66호 / 479 ~ 511페이지
    · 저자명 : 주은숙

    초록

    본 연구는 <이런 춘향>에 구현된 에로스의 차용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지금까지 <이런 춘향>은 세태성이 강조된 작품으로 논의되어왔는데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고전 <춘향전>의 패러디를 중심으로 에로스의 차원에서 작품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에로스의 차용은 제목, 주체 간의 차이, 서사 세계와 사회적 문제 측면에서 표출된 유사성을 통해 구현되었다. 제목에서 여주인공의 에로스가 춘향의 에로스를 패러디했음을 보여주었다. 주체 간의 차이를 통해 현저한차이를 극복하는 에로스가 구현된다. 이별-고난-기다림의 서사를 통해 기다림의 에로스가 극명하게 재현되고 이는 결국 여성의 고난과 사회문제를노정하기에 이른다. 이런 유사성을 통해 원텍스트를 전경화하고 원텍스트에 대한 일치와 친밀성을 확보한다. 이런 점에서 <이런 춘향>은 원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성향보다는 원텍스트를 계승하는 모방적 패러디의 성향이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익숙한 고전 <춘향전>의 에로스를 차용하여 작가는 독자를 쉽게 확보하고 당대를 향한 의식을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효과를 창출하며 1950년대 전후문제를 표면화하기 위한 목적에 도달한다.
    이와 동시에 <이런 춘향>은 회상이라는 서사적 전략을 통해 원텍스트와비평적 거리를 확보하고 역동적인 힘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작중인물을 통해 전지적 작가의 시점에서 과거 사건의 발전순서에 따라 전개되는 회상은 과거 기억의 재구성으로 시작해서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재시점에서 에로스의 단절’과 ‘습관적 기억으로 수렴되는 자유연상’이라는 두가자 연계 지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연계지점에서 이어지는 회상은장면 전환을 통해 이루어지며 에로스를 다채롭게 담아냈다.
    회상으로 표출되는 에로스는 억압과 분출을 통해 전후 한국사회의 자폐적이고 폐쇄적인 시대적 상황을 고발하고 동시에 고난의 극복지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대 다른 전후 소설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그 궤를 같이 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암울한 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하는 결단의 중요한 시기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여성문제와 관련하여 여성의 고난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여성의 고난을 통해 사회문제를 환기하고 있다는 점은 동시대 작품보다 앞서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based on This Chunhyang which is adopted from the classical works Chunhyangjeon and its objectives is to investigate the borrowing aspect of Eros and its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is Chunhyang through love, inheriting and simulating classic work on the aspect of shaping the emage of the title, depicting subject diversity, expressing narrative content and reflecting social problem. Through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it is the embodiment of eros that overcome the different.
    Through the narrative process of farewell-suffering-waiting, Eros of Waiting is clearly reflected,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suffering and social problems of female. Through high similarity with classical text This Chunhyang can keep a intimate relationship with it. In this point, This Chunhyang shows an imitative parody of inheritance rather than criticism of original text. Making use of well-known classic novel <Chunhyangeon> to assure a larger readers. Meanwhile it can easily achieve author's goal of parsing the social problems after the war that happened in 1950.
    At the same time, Eros strats with recalling the author used the recalling narrative wags on narrative strategy to make sure the differences with the classic text. Recalling is under way on the condition that is accompanied by external isolation. It will fully show the strong surges of nostalgia for the past love and a wonderful vision for the future.
    In short, depressed Eros expresses the postwar social problems of Korea and the will of overcoming the suffering through the narrative way of recalling which connects with the other postwar. Through recalling, This Chunhyang also focuses on the female issues and implies country in the period of important choice, which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novel. In addition, it focuses on female's suffering problems, thus put forward the social problems, which has a great influ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