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리랑카 탈팟(Talpat) 전통과 필사본 연구(1) - Dīpavaṃsa Catalog와 Colophon을 중심으로 - (Dīpavaṃsa Manuscripts within the Talpat Tradition (1))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3.03
29P 미리보기
스리랑카 탈팟(Talpat) 전통과 필사본 연구(1) - Dīpavaṃsa Catalog와 Colophon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5호 / 281 ~ 309페이지
    · 저자명 : 레브파고다사라나시하, 김경래

    초록

    불교국가들 사이에서 패엽경 필사전통은 기원전부터 이미 정착되어있었다. 특히 스리랑카에서는 패엽경의 잎사귀를 뜻하는 ‘탈팟(Talpat)’이라는 이름으로 이 전통이 계승 발전되어왔다. 수세기를 걸쳐 제작되어온 이 필사본들은 콜롬보 국립박물관 도서관(Colombo National Museum Library) 혹은 스리랑카 전역의 사원들에서 개별적으로 보존 전승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는 소실되거나 해외로 유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논문은 이제까지 국내 학계에서 제대로 다루어진 바 없는 스리랑카 탈팟 전통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사본들이 총망라되어 있는 대표적인 목록집들을 검토하여 목록 해석방법 및 필사본 현황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열람 가능한 특정 텍스트를 표본으로 삼아 구체적인 필사본의 내부구조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논자가 사례연구로 선택한 텍스트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불교 역사서 『디빠왕사(Dīpavaṃsa)』이다. 이 텍스트는 1879년 올덴베르그(Hermann Oldenberg)에 의해 출판되었는데, 당시 그는 버마문자와 싱할리문자로 필사된 11개의 필사본들을 바탕으로 교정판을 완성했다. 그러나 이후 올덴베르그가 검토하지 못했던 다수의 필사본들이 추가로 발견되었음에도 이에 대한 비교연구 작업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논자는 스리랑카 콜롬보 국립박물관 도서관과 일부 사원에 소장된 필사본들 중 현재 열람 가능한 7개의 판본(National Museum Library Catalog no.1849, 1850, 1851; Somadasa Catalog no.365, 435, 512, 665)을 분석하여 탈팟 전통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tradition of Palm-leaf manuscript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since BCE. within the Buddhist countries. This tradition, in Sri Lanka, has been inherited and developed under the name of Talpat, which means the leaves of the Palm-leaf manuscript. The manuscripts have been produced and transmitted over the centuries at the Colombo National Museum Library or the temples across Sri Lankan provinces, some of which have been lost or leaked abroad.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ri Lankan Talpat tradition,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in Korean academia so far. It scrutinizes the method of catalog and the available manuscripts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Manuscript Catalogs. Further, it analyz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lm leaf manuscript using specific text available as a sample. The Dipavamsa, which is the oldest historical text among the extant Buddhist source, is the text as this case study. In 1879, Hermann Oldenberg published the critical edition of the text based on 11 manuscripts transcribed in the Burmese and Sinhalese script. Since then, however, there has been no further critical comparative research on a number of additional manuscripts that Oldenberg could not review. In response, the article analyzes the seven available manuscripts of the Colombo National Museum Library Catalog No. 1849, 1850, 1851, and K.D. Somadasa Catalog No. 365, 435, 512 and 665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alpat tradition in Sri Lank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