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양지역에 전승되는 팔공산제 범패에 관한 연구 -전승계보와 전승현황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Beompae music of Palgongsan mountain of Milyang reg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밀양지역에 전승되는 팔공산제 범패에 관한 연구 -전승계보와 전승현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44권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서정매

    초록

    한국의 영산재는 크게 경제(京制)와 영남제(嶺南制, 일명 팔공산제) 그리고 호남제(湖南制)로 나뉜다. 경제는 서울 봉원사를 주축으로 하여 전승되고 있으며, 영남제는 부산영산재와 마산불모산영산재가 부산 및 경남권의 범패를 대표하고 있고, 호남제는 전북의 봉서사 영산작법이 호남지역을 대표하고 있다. 그러나 내륙에서 가장 성행했다던 영남지역의 팔공산제 범패는 현재 맥이 끊어진 상태이다. 이렇듯 팔공산제 범패가 사라지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1955년 정화운동(분규)으로 인해 종파가 나뉘게 되면서인데, 어산스님들이 강압에 의해 절에서 나오게 되면서 서서히 명맥이 끊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밀양지역의 몇몇 스님의 인터뷰를 통해 팔공산제 범패가 10년 전에 작고하신 박성봉스님에 의해서 밀양에 전승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관련된 녹음 및 영상자료로서는 1982년 사포리 어룡사에서의 49재와 1982년 약수암의 천쪽가사불사(袈裟佛事)에서 증명스님으로 봉축행사에 참석한 영상녹화자료, 1990년 밀양 불교사원연합회에서 주최한 표충사에서의 생전예수재의 영상녹화자료 그리고 광제사의 원봉스님이 보관하고 있던 1982년의 범패교육을 녹음한 테이프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 소멸된 것으로 알고 있는 팔공산제 범패가 밀양지역으로 전승된 과정 및 전승계보를 체계화하고, 의식절차와 의식내용의 구성과 특징을 밝혀 밀양에 전승되고 있는 팔공산제 영산재의 존속을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에 의해 밝혀진 밀양지역의 범패계보는 크게 둘로, 청도에서 이어져 내려온 팔공산제의 계보와 밀양 표충사제의 범패 계보로 나뉜다. 뿐만 아니라 밀양표충사는 통도사 말사로 분규 훨씬 이전에서부터 경남․부산권의 범패승을 양성한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부산영산재는 결국 밀양 표충사범패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청도의 범패승인 성봉스님이 밀양으로 이주해 오면서 밀양지역에는 경북청도의 팔공산제 범패가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어서, 밀양지역에는 크게 두 범패의 계보가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성봉스님으로 인해 전해지는 밀양의 팔공산제 범패의 의식절차는 삼신이운 → 대령 → 시련 → 관욕 → 시왕도청 → 상단권공 → 신중권공 →지장(중단)권공 → 축원 → 시식(영반)으로 구성되는데, 다른 지역의 영산재와는 달리 상단권공보다 지장권공을 더 중요시한 특징을 지닌다.
    본 논문은 이미 사라진 것으로 알려진 팔공산제 범패가 밀양지역에 전승되고 있음을 밝힘과 동시에 1900년대 초중반에 성행했던 밀양 표충사범패의 계보를 정립한 것에 의미가 있다. 아울러 밀양지역에 전승된 표충사범패와 팔공산제 범패와의 상호 연관성과 함께 부산영산재와의 연계에 대해서도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부분이며, 무엇보다 고(故) 성봉스님의 소리로 이어지는 밀양지역의 팔공산 영산재의 온전한 보존과 계승을 위해 주력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main streams/styles in Beompae music of Korea, which are Gyeong-je(Seoulstyle) and Youngnam-je(Yonngnam regional style, also know nas Palgongsan-Je). Gyeong-je has been performed mainly in Seoul area, specifically started from Bongwonsa temple and transmitted actively among the monks until today. In contrast to that, the transmitting of Palgongsan-Je which w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among there gional monks of the area has been completely discontinued and Busan-Youngsanjae Beompae(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Busan city#9) and Youngsanjae of Bulmosan-mountain of Masan-region(also 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Busan city district#22) have only survived among Busan and Youngnam regional Beompae music.
    One of the main reason that caused discontinuation of Beompae music of Palgongsan mountain is due to its cleanup movement in 1955. Most of the Beompae performing monks-Osan monks- were forced to move out from the temple and therefore their ritual performances has not been supported by either temples or the public.
    But, I have find out that Beompae music of Palgongsan mountain has transmitted by several monks until today after interviews made by old monks reside in Milyang region. The transmission has been made by the late monk Seongbong – references could be found in the video recordings of Sangjukwongongjae performance of Eoryongsa temple, Sapori area and Cheonjjokgasabulsa ceremony of Yaksooam temple in 1982 as well as Sangjeonyesoojae ceremony of Pyochoongsan temple in 1990 and educational material presented by monk Wonbong of Gwangjesa templ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have a close look into the genealogical table of transmission of the Palgongsan-Je Beompae music in the Milyang region and study about the musical structur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it by using the previously mentioned video recordings of the performances.
    As I conduct the research into it, I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main tables of descent, one is Palgongsan-Je originated from Cheongdo area and the other is Pyochoongsa temple-je of Milyang region. Among them, Pyochoonsa temple-je Beompae music has been the main temple where they actively teach and performing the Beompae music in Kyongnam․Busan region. Therefore, Youngsanjae ceremony of Busan is rooted from that of Pyochoongsa temple-je of Milyang area. Also, by the movement of monk Seongbong from Cheongdo region, the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of that region has been spread to Milyang region, which resulted growth of two different styles of Beompae music in this region.
    Official orders of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transmitted by monk Seongbong is like following:
    Samshiniun → Daeryeong → Siryeon → Gwanyok → Siwangdocheong → Sangdan kwongong → Sinjoong kwongon → Jijang(joongdan) kwongong → Chookwon → Sishik(Youngban).
    In conclusion, I have found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has not been discontinued but transmitted by several monks in Milyang region and tried to search for the genealogical table of Pyochoongsa Beompae music of Milyang region.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 in between the Beompae music of Pyochoongsa temple-je and Palgongsan mountain-je and its co-relation with Busan-Youngsanjae. Youngsanjae ceremony from other regions have to be studied in comparison to that of Youngnam region for us to establish more concrete conclusions on the genealogy tables of transmission of Palgongsan mountain-je Beompae music of Youngnam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