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민속 물산지리지로서 『세종실록지리지』의 팔도 곡물 분포와 특성 연구 (Historical Study on the Dispersion of Grains and the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As a Folkloristic Product Geography in Joseon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7.12
40P 미리보기
역사민속 물산지리지로서 『세종실록지리지』의 팔도 곡물 분포와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33권 / 135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본 연구는 지리지에 대한 역사학과 생태학 및 민속학을 융복합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역사민속지리지 연구를 목표로 삼아, 그 방향성을 생태․물산․풍속이라는 키워드로 열고자 하였다.
    본고는 향후 더욱 전면적이고 치밀한 물산지리지를 구축하는 일환으로 토산식물의 서술적 범주와 자료적 범주에 주목하여 그 개황을 살폈고, 그중에 8도 「물산총론편」 수록 곡물류 물산의 분포와 특성 규명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8도별 <전부>조의 기록을 분석하여, 주식물인 곡물의 종류와 분포 상황을 검토하였고, 이를 미곡류와 두맥류 및 잡곡류로 갈라서 고찰하였으며, 조미물과 직물류에 대한 수록상황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당시 미곡물 종류가 볍쌀(稻米), 찹쌀(糯米), 좁쌀(粟米), 핍쌀(稷米)의 4종류가 추출되었으며, 그 다음 두곡류로 콩은 8도 공히 생산되었고, 팥과 녹두가 평안 및 함길도에는 수록되지 않아 북방 작물한계선을 시사하였다. 그 다음 맥곡류로 밀이 전국 8도에 걸쳐 재배된 반면에, 보리는 경기, 황해, 함길의 3도에만 채록되는 드문 상황을 보였다. 이런 때문에 당시로서 맥(麥)이란 글자가 근대처럼 보리로 인식되기 보다는 밀로 인식되는 면이 강하였을 측면이 상정되며, 이에 우리말 이두식 한자어 진맥(眞麥)은 ‘밀’이야말로 참 맥(麥)이라는 인식의 결과물이라 하게 된다. 나아가 이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도별 주식 곡물 및 종류별 소비 형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세종지리지』가 역사민속 물산지리지로서 지니는 성격을 드러내는데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persion of grains throughout the eight provinces in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fact that natural environment and local products affects people’s life and culture.
    As analyzing local products, especially about grains through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地理志), this paper approached further understanding on staple grain of each province.
    As a result, grains mainly consumed were categorized as 3 kinds; rice, bean, and minor grains which includes several subclasses. Each province showed different diet of grains according to their natural background and richness. For example, bean was produced all over the province, while red bean and grean bean were not produced in Pyeongan and Hamgil province which is the northernmost province of the country. This shows the north limit line of these bean growth at that time. Besides, wheat was harvested at the entire province, while barley was grown only at the Gyeonggi, Hwanghae, Hamgil province. This result shows wheat was more common in the past, and implies the chinese character ‘麥[maek]’ meaning ‘barley’ nowadays might have referred to ‘wheat’ at that time, because wheat was named as 眞麥[Jinmaek]’ which means ‘real barley’.
    Because difference of the diet formed different food culture and people’s life, this research can help underst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of local f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