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경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여주팔경의 전승양상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Yeoju-Palkyung in Old Poems and Map)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1.03
14P 미리보기
팔경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여주팔경의 전승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9권 / 1호 / 14 ~ 27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초록

    본 연구는 여주지역에 전래되는 팔경시, 고지도, 옛 그림 그리고 고문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여주팔경의 내용과 의미를 개관하는 한편 여주팔경의 전승과정을 면밀히 되짚어봄으로써 ‘여주팔경’의 뿌리찾기를 시도하였다.
    여주팔경 중 5개경은 소상팔경의 시각적 결속력을 유지한 관념적 경관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지역의 유서깊고 지명도 높은 유적과 여강 중심의 토착민의 삶을 담은 ‘생활 속의 경’이 혼재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옛 그림 속에 강조된 여주의 승경은 여강을 배경으로 한 범선과 청심루를 둘러싼 수목들, 그리고 신륵사 동대(東臺) 위의 다층전탑과 마암 등 상징성 높은 여주 팔경의 시점장과 대상이 중복되어 강조되고 있다. 현재 여주팔경의 모본은 최숙정과 서거정의 ‘여주팔영’인 것은 의심할 바 없으나, 이후 17세기 전반 조문수의 청기정십영 속에 현 여주팔경이 모두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청기정십영 또한 여주팔경 전승의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여지도서에 기록된 여주팔영과 현 여주팔경은 1개경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집경(集景)으로 판단됨에 따라 현 여주팔경의 연원(淵源)은 최소한 18세기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분석대상 고지도 공히 동일한 순서로 사촌어화, 신륵모종, 연탄귀범, 팔대장림, 양도낙안, 입암층암, 파사과우, 용문적취의 8개경이 일관성 있게 기재된 것으로 보아, 고지도에 기재된 팔경 또한 적어도 18세기 전형적 여주팔경의 모본(母本)으로 정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여주팔경의 전승경로는 여주팔영(최숙정․서거정)→청기정팔영→여주팔영(여지도서)→여주팔경(여주군)의 과정과 ‘여주팔영+금사팔영’→고지도 팔경→여주팔경(18C 후반)의 전승과정 등 2개 버전(version)으로 분화 전승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근원적으로 여주와 금사 2개 경관소권의 대표경관을 포괄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차이를 보일 뿐 양자 동일한 연원을 갖는 여주지역 고유의 문화경관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y reviewed the content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t Yeoju Palkyung(eight scenery) through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Palkyung poems, old maps and paintings, and classic materials transmitted in Yeoju area, and investigated the transmission process. Although five scenes of the Yeoju Palkyungs illustrate abstract landscapes derived from the Sosang Palkyung, there are mixed with local sceneries showing famous historical ruins in the area and local life of the Yeogang(驪江: river). Seunggyeong(勝景) of Yeoju, highlighted in old paintings, has been emphasized through duplication the object and the view point field of Yeoju Palgyeong(驪州八詠), which is usually symbolized to sailing boats along the Yeogang, forests around Cheongshimru, and the layer Jeontap and Maam above Shinreuksa(神勒寺) Dongdae(東臺). It is quite undoubtful that the Yeoju Palyong of Choi Sukjeong and Seo Geojung is the copy of the present Yeoju Palkyung, but the present version is found to be all included in the Cheonggijeongsipyoung(淸奇亭十詠) of Cho Moonsu since the 17th Century, which shows that the Cheonggijeongsipyoung is viewe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Yeoju Palkyung. Also, it is concluded that the Yeoju Palyong recorded in Yeojidoseo(與地圖書) is the same landscape collecting with the presend Yeoju Palkyung, which would be dated back at least until the mid 18th Century.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studied old maps show Eight scenery, Sachoneohwa, Shinreukmojong, Yeontanguibum, Paldaejangrim, Yangdonagan, Ibanchungam, Pasagwau, and Yongmoonjeukchui, recorded consistently in the same time order, the eight scenic points in the old maps had been apparently established as the typical copy of the Yeoju Palkyung in the 18th Century. Therefore, the transmission route of the Yeoju Palkyung follows two separate versions, one starting from the Yeoju Palyong(Choi Sukjeung, Seo Geojeong) to Cheonggijeongpalyong to Yeoju Palyoung(Yeojidoseo) to the present Yeoju Palkyung, and the other from the Yeoju Palyoung Geumsa Palyong(金沙八詠) to the old map Palkyung to the Yeoju Palkyung(the late 18th C). These two transmission processes have their own cultural sceneries having the same origin, which are different only in perspective which attempts to cover the representative scenic landscapes including Yeoju and Geum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