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의 검토 (A Study on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Palgeo Mountain Fortress in Daegu)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3.12
38P 미리보기
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의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64권 / 187 ~ 224페이지
    · 저자명 : 이수훈

    초록

    본고는 대구 팔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목간의 내용을 파악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글자의 판독을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판독을 토대로 목간의 해석을 나름대로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그동안 쟁점이 되었던 4호 목간의 2번째와 6번째, 9번째 글자를 새롭게 판독하였으며, 이러한 판독을 근거로 4호 목간의 묵서도 나름대로 해석하였다. 또한 3호·6호·15호 목간에 등장하는 ‘王私’의 성격도 기왕의 연구와 다른 각도에서 파악하였다. 뿐만 아니라 7호 목간에 등장하는 ‘下⻨’의 의미도, 목간의 내용 검토를 통해서 도출하였다. 본고에서 검토한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왕의 연구에서 ‘奴’와 ‘稻’, ‘食’으로 판독하였던 4호 목간의 2번째와 6번째, 9번째 글자를, 각각 ‘伐’과 ‘私’, ‘匡’으로 판독하였다. 그리하여 4호 목간에서 ‘奈伐’(지명)과 ‘私石(私的인 물품을 담은 섬)’, 그리고 ‘伐匡軍’(부대의 명칭)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러한 판독 결과를 토대로 하여, 4호 목간의 묵서(‘奈伐惠積(作)私石伐匡軍’)를 ‘奈伐(지명) 출신 惠積(作)(인명)이라는 인물의 私的인 물품을 담은 石(섬)인데 伐匡軍(부대 이름)에 사용함’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신라 당시 사회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용어인 ‘王私’와 ‘私’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 ‘王私’와 ‘私’는 팔거산성 출토 목간뿐만 아니라 성산산성 출토 목간에서도 확인된다. 그런 만큼 ‘王私’와 ‘私’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사례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곧 성산산성 출토 가야 2025 목간의 ‘王私巴珎兮村’과 가야 57 목간의 ‘巴珎兮村’을 비교·검토하여, ‘王私’가 ‘巴珎兮村’에 거주하는 특정한 인물(‘弥次’)의 신분적 속성(‘왕·왕실의 私屬人’)을 나타내는 용어로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巴珎兮村’에 거주하는 인물을 목간에 기재하면서 그 신분적 속성이 ‘王私(왕·왕실의 私屬人)’이면(가야 2025 목간의 ‘弥次’가 여기에 해당됨) ‘王私巴珎兮村’으로, 그 신분적 속성이 일반인이면 그냥 ‘巴珎兮村’으로 촌명을 기재하였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성산산성 출토 목간에 ‘王私巴珎兮村’(가야 2025 목간)과 ‘巴珎兮村’(가야 57 목간)이 동시에 등장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당시에 이른바 ‘王私’ 촌락(‘왕·왕실 직할지’)이라는, 그 성격이 일반촌락과 완전히 다른 촌락이 實在하였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이처럼 ‘王私’가 ‘왕(실)과 私的 관계’임을 나타내는데 반해, ‘私’는 왕실이 아닌 일반민 상호간의 ‘私的 관계’, 또는 일반민과 물품 사이의 ‘私的 소유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로 규정할 수 있다.
    셋째, 7호 목간에 등장하는 ‘下⻨’의 의미는 ‘下(送)한 ⻨(보리)’ 또는 ‘내려보낸 ⻨(보리)’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下⻨’의 의미를 고려하여 7호 목간의 묵서(‘丙寅年次⾕鄒〃下⻨易大石’)를 해석하면, ‘丙寅年에 次谷(지명) 출신인 鄒〃(인명)라는 인물이 내려보낸 ⻨(보리)인데 (보리가 담긴) 큰 섬(용기)을 바꾸었음’이 된다.
    7호 목간은 ‘(보리가 담긴) 큰 섬(용기)을 바꾸었음’이라는 ‘易大石’의 의미를 고려할 때, ‘次谷’(지명) 출신의 ‘鄒〃’(인명)가 내려보낸 곡물(보리)을 창고에 보관·관리하면서 제작·사용한 ‘짐꼬리표’로 여겨진다. 어디까지나 7호 목간의 제작 목적이 해당 곡물(보리)의 수송이 아닌 보관·관리에 있는 만큼, 곡물(보리)을 팔거산성으로 발송한 특정한 지역을 굳이 기재할 필요가 없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해당 곡물(보리)과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정보, 곧 해당 곡물(보리)을 발송한 해(‘丙寅年’)와 인물(‘次谷’ 출신의 ‘鄒〃’), 그리고 보관 상황―‘易大石(보리를 큰 섬으로 바꾸어 담았음)’―만 간략하게 언급하였다고 판단된다. 이에 반해 ‘下⻨’의 앞에 지명(‘□□城’ 또는 ‘鐵山’ 등)을 기재한 성산산성 출토 ‘城下⻨’ 목간은, 해당 물품을 발송한 지역이 어디인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춘 만큼 성산산성으로 물품을 수송할 때 제작·사용한 ‘짐꼬리표’로 생각된다. 하지만 여기에 등장하는 ‘下⻨’의 의미는 ‘下(送)한 ⻨(보리)’ 또는 ‘내려보낸 ⻨(보리)’으로 동일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Palgeo Mountain Fortress in Daegu. A summary of the content is as follows: First, the terms ‘Wangsa(王私)’ and ‘Sa(私)’ recorded on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Palgeo Mountain Fortres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e society at that time. ‘Wangsa(王私)’ refers to ‘a person who is privately controlled by the king or the royal family,’ while ‘Sa(私)’ indicates ‘privately owned.’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usage of ‘Wangsa(王私)’ preceding the names of villages and ‘Sa(私)’ associated with commodities, both documented in the tablets.
    Second, the wooden tablet No. 7, excavated from Palgeo Mountain Fortress, was created while storing barley(grains) sent by a specific individual. The term ‘Hamaek(下麥),’ recorded on tablet No. 7, means ‘barley sent down,’ and ‘Yeokdaeseok(易大石)’ signifies that ‘Daeseok(大石),’ or a large container, was changed.
    Third,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Palgeo Mountain Fortress is the omission of specific months(月) and days(日), with only the corresponding year indicated, such as ‘Year of Renxu(壬戌年)’ or ‘Year of Bingyin(丙寅年).’ This suggests that in managing goods at Palgeo Mountain Fortress, there were instances where the reference was based on the year(年) rather than specific months and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