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서편제>에 삽입된 판소리 <심청가>의 매개화 연구 - 여주인공의 삶을 중심으로 - (The Mediation of the Inserted Pansori Shimcheong-ga in the Movie Seopyeonje - Focusing on the Heroine's Life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3.04
36P 미리보기
영화 &lt;서편제&gt;에 삽입된 판소리 &lt;심청가&gt;의 매개화 연구 - 여주인공의 삶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55호 / 35 ~ 70페이지
    · 저자명 : 김예원

    초록

    이 연구는 영화 <서편제>와 삽입된 판소리 <심청가>의 매개 과정을 검토하고여주인공의 삶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영화<서편제>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주로 텍스트 분석에 집중되어 있었는데, 이 글에서는 판소리가 지닌 음악의표현적 측면까지 확장하여 여주인공의 삶을 조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송화가 부르는 판소리는 어떤 상상적 구조로 연결되고 그것이 지닌 ‘함의’나‘지향성’을 파악하는 과정은 서사를 이해하고 의미화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송화가 부르는 판소리 <심청가>는 서사적 매개체로 감지되는데, 이를전반부인 ‘심청이 밥 빌러가는 대목’과 ‘범피중류’, 후반부 ‘심청이 인당수에빠지는 대목’과 ‘심봉사 눈뜨는 대목’을 통해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송화가 판소리꾼으로 득음에 이르는 과정과 삽입 판소리에서의 심청이 심황후에이르는 서사의 과정이 음악과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소외된 여성의 주체적자기발견으로 거듭나게 됨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영화 <서편제>에 삽입된 판소리 <심청가>의 대목들은 공통적으로 음악의선율과 템포의 조절, 수직/수평적인 움직임과 상호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얽힘과풀림, 긴장과 해소, 만남과 헤어짐, 죽음과 부활과 같은 순환론적 세계관으로나아가는 지향성으로 이해된다. 송화와 판소리 <심청가>에서의 심청이 자신의역경과 고난을 승화해 나감을 보여주듯, 음악에서도 긴장과 대립, 선율이나장단에서 모순과 극적인 전환을 통해 이러한 서사성이 재현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에 따라, 영화 <서편제>와 삽입 판소리 <심청가>에서 재현되는 여성의 삶은 사회로부터 소외된 상황에서도 주체적으로 자신을 마주하고, 더 나은 성장을 위해 희생과 고난을 감내하며 ‘자기 돌봄’을 수행해 나아간다.
    향유자들은 송화가 심청 서사를 모방하듯 그녀가 부르는 <심청가>에서 모방적인 참여와 경험을 공유한다. 이는 판소리의 이면을 그리는 일이다. 다시 말해, 판소리의 서사적 매개를 통한 정서반응과 인지과정이 심청의 서사와 송화의삶을 자신의 감정과 동일시하고 체화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송화가 부르는 삽입 판소리 <심청가>는 그녀의 주체적 의지가담긴 ‘목소리’로 수행된다는 점에서 <서편제>의 여주인공에 대한 의미를 새롭게확장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서편제>에 삽입된 판소리 <춘향가>, 그 외의 부수적인 영화 음악과의 관계까지 살펴보지 못한 것은 연구의 한계이며, 앞으로의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is a research article that examines the mediation process of the pansori "Simcheongga" inserted in the movie "Seopyeonje" and explores the life and meaning of the female protagonist. While previous discussions of the film "Seopyeonje" have mainly focused on textual analysis,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expressive aspects of the music in "Simcheongga" to understand the narrative and meaning of the female protagonist's life.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directionality" that the pansori "Simcheongga" contains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and contextualizing the narrative. The "Simcheongga" sung by Songhwa is perceived as a narrative medium, which is examined sequentially through the "Simcheong begging for food" and "Bempijungryu" in the early parts, and the later parts, which includes the "Simcheong falling into the river" and "Simbongsan waking up". This analysis aims to show how Songhwa's path to becoming a pansori singer and the narrative of Simcheong's journey towards becoming a queen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music, resulting in the protagonist's self-discovery as an excluded woman.
    The sections of "Simcheongga" inserted into the movie "Seopyeonje" all have a commonality of regulating the melody and tempo of the music and the vertical/horizontal movement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is understood as a directionality towards a cyclical worldview such as entanglement and disentanglement, tension and resolution, meeting and parting, death and resurrection. As shown by Simcheong's own hardships and sufferings in Songhwa's pansori performance, the narrative of the music is reproduced through tension, contradiction, and dramatic turns in melody and rhythm.
    Based on this analysis, the life of women represented in "Seopyeonje" and "Simcheongga" is characterized by a self-confrontation even in situations where they are excluded from society, persevering through sacrifices and hardships for their own self-care and better growth. Audience members participate in the performance of pansori "Simcheongga" by Songhwa as an imitation of Simcheong's narrative and share emotional experiences. This is the process of drawing the underlying meaning of pansori, which leads emotional reactions and cognitive processes to identify with and embody the narratives of Simcheong's journey and Songhwa's life.
    In this research, the pansori "Simcheongga" sung by Songhwa is viewed as a "voice" containing her independent will, which expands the meaning of the female protagonist in "Seopyeonje".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e pansori "Chunhyangga" inserted in "Seopyeonje" and other parts requires further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