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례의 잔치판과 혼례의 여성주의적 판문화 주권 포착 (Focus on Pan of Feast in Rituals and Feministic Sovereignty of Pan Culture in Wedding Ceremonies)

9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08
92P 미리보기
의례의 잔치판과 혼례의 여성주의적 판문화 주권 포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속연구 / 29호 / 5 ~ 96페이지
    · 저자명 : 임재해

    초록

    혼례를 통과의례 구조나 관혼상제의 절차가 아니라 실제 의례가 이루어지는 연행 공간의 ‘판(pan)’을 주목하면 의례 절차보다 잔치판과 놀이판, 난장판 등이 다양하게 드러난다. 판문화를 중심으로 혼례를 보면 여성주의적 특성이 포착된다. 특히 혼례를 신랑집이 아니라 신부집에서 올리는 점을 주목해야 여성주의적 해석이 가능하다.
    여성주의적 혼례의 뿌리는 신랑이 신부에게 장가드는 서옥제에서 비롯되고 이것이 처가혼(妻家婚)과 묵신행의 전통으로 이어졌다. 주자가례에서는 신랑집에서 혼례를 올리는 친영(親迎) 의례가 원칙이나, 유교 이념을 표방한 조선조에도 처가혼이 지속되었다. 조정에서 처가혼을 폐지하고 친영의 예를 따르고자 했으나, 여성주의적 전통이 뿌리 깊어서 처가혼을 바꿀 수 없었다.
    신랑은 혼례 당일 신부집에 가서 의례를 치르고 첫날밤을 보내기까지 많은 통과의례를 거쳐야 한다. 초행길에 다른 가마를 만나면 길다툼을 하는 일, 마을 입구에서 청년들의 질문에 답하는 일, 신부집에 들어갈 때 영역 의례를 하는 일, 정절을 다짐하는 전안례를 올리는 일, 넘어지지 않고 대례판에 들어서는 일 등 수많은 난관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신부는 단장을 하고 편안하게 기다리기만 한다.
    신랑이 낯선 사람에게 둘러싸여 혼자서 온갖 의례를 치러야 하는 반면에 신부는 익숙한 사람들 사이에서 시키는 대로 따르기만 하면 된다. 첫날밤에도 신방 엿보기로 신랑은 한참 곤혹을 치른 다음에 비로소 잠자리에 들 수 있다. 재행 때 하는 동상례는 청년들이 신랑을 달아매고 주안상을 받아내는 놀이이자 또 하나의 잔치이다. 의례는 잠깐 끝나지만 이러한 놀이판은 여러 날에 걸쳐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신랑을 대상으로 신부의 친지와 이웃들이 제각기 장난을 하는 까닭이다.
    놀이판의 기능은 신랑이 처가 식구 및 주민들과 익숙한 관계를 맺도록 하는 구실을 한다. 신랑은 3행 뒤에 비로소 신부를 데려갈 수 있다. 신부가 시집에 가면, 처가 식구들이 신랑을 조롱한 것과 달리, 시집식구들은 신부의 시집살이를 순조롭게 적응하도로 배려한다. 그러므로 전통혼례는 신랑보다 신부의 처지를 적극 배려한 여성주의적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신부가 시집을 가도 신랑의 성(姓)을 따르지 않고 자기 성을 지키는 세계 유일의 전통을 지녔을 뿐 아니라, 재산도 남녀균분 상속의 전통을 18세기 초까지 이어왔다. 최근에 혼례를 예식장에서 올려도 신혼여행을 다녀오면 으레 처가 집에 먼저 들려 첫날밤을 보낸다. 아직도 처가혼과 묵신행의 전통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혼례의 판문화를 주목해 보면, 유교문화에 맞서서 문화주권을 지킨 여성주의적 전통을 고스란히 포착할 수 있다.

    영어초록

    When viewed as the space of Pan where an actual ritual is performed, not as a rite of passage or a ceremonial procedure, a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shows various aspects such as Pan of feast, Pan of amusement and Pan of festive disorder as well as a formal procedure. Focusing on the Pan culture, we can find feministic features in wedding ceremonies. Feministic interpretation is made based particularly on the fact that a wedding is held at a bride’s house, not at a bridegroom’s.
    Feministic wedding has its roots in Seo-ok-je (a bridegroom goes to his bride's home to get married), which was followed by the customs of Cheo-ga-hon (matrilocal residence) and Muk-sin-haeng (a visit to a bride’s home after the wedding ceremony). While Chin-yeong (a wedding ceremony held at the bridegroom’s house) was forced according to the Zhu Xi’s Family Rituals, matrilocal residence had remained eve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Confucianism was the ruling principle.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s to abolish Cheo-ga-hon and to abide by Chin-yeong, it was impossible to change the marriage customs owing to the deep-rooted tradition of feminism.
    A bridegroom visits the bride's house to hold a ceremony and has to take a number of difficult steps until the wedding night: for example, arguing with people of another sedan chair on the road to the ceremony, answering to questions of young men waiting at the village entrance, carrying out the domain procedure while entering the bride’s house, making Jeon-an-rye (a ritual of promising fidelity), not tripping over the ceremony plate. In the meantime, the bride, dressed up, has nothing to do but wait for the bridegroom.
    While the bridegroom goes through a lot of formalities with strangers, the bride just listens to what is told among familiar faces. The groom is allowed to go to bed only after puzzling steps like peeing into the bridal room. Dong-sang-rye (a wedding reception during the bridegroom’s first visit to the bride’s home) is an amusement as well as a party where young men asks for a liquor table, with the groom tied up with string. A wedding ceremony ends in a few hours, but the Pan of amusements lasts for several days. That is because the bride’s relatives and neighbors play jokes on the bridegroom.
    The Pan of amusements serves to help the bridegroom to enter into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bride’s parents and relatives. He is permitted to take his bride after three formalities. Unlike the bridegroom laughed at by bride’s relatives, the bride receives careful attention from the groom’s relatives to help her adapt to a married life. Given such consideration for a bride, a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can be said to be feministic.
    We have a unique tradition in the world that a woman keeps her family name even after marriage, and equal division of inheritance remain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eighteenth century. Now a married couple usually visits the bride’s home to spend the night after a honeymoon although their wedding is held at a wedding hall. It can be thought that the customs of Cheo-ga-hon and Muk-sin-haeng have survived so far. Therefore, the Pan culture of wedding ceremonies reveals the feministic tradition that has preserved cultural sovereignty against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