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광지 공간 유형화를 통한 안내표지판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uided Signboards by the Type of Tourism Spac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0.10
10P 미리보기
관광지 공간 유형화를 통한 안내표지판 개선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7호 / 391 ~ 400페이지
    · 저자명 : 오병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자치단체들은 관광지에 대한 지역 특성화를 통해 지역의 관광 경쟁력 강화와 관광 패러다임의 체계적인 접근 및 트렌드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 관광지에 대한 통합된 안내시스템의 부재로 잘못된 안내판 설치나 외국어 표기의 부재 및 오류로 관광지 정보에 대한 혼선이 발생하고 있어 관광지를 찾는 관광객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관광지안내표지판은 대부분 행정기관이 관리와 운영을 하고 있으나, 관련된 법령과 지침이 광범위하게 작용하고 있어 제도적 위계를 준수하는 가이드 마련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본 논문은 지역의 관광지 공간적 특성에 따른 유형화된 체계와 관광지 공간에 따른 안내표지판 구성 전략으로 지역의 관광지를 찾는 관광객에게 관광안내를 위한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행정에서는 관광지 안내표지판 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을 높인 관광안내표지판 기획을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관광 및 문화재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통해 유형 분석과 대상지 유형의 구분방향 안내 표지판의 콘텐츠 적용방법을 모색하였다. 관광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범위를 충청남도로 한정하였으며, 충청남도가 수립한 충청남도 관광권역계획(2017년~2021년)의 내용을 중심으로 관광지의 유형을 관광지 안내표지판과 관련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분석된 관광지 유형을 대입시켜 입지를 구분하여 관광안내표지판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관광권역계획에서 유형별로 제시된 주요관광지를 충청남도 관광지 구분 및 관광안내표지판 공간 유형에 따른 7곳의 조사를 통해 안내표지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관광지 안내표지판의 효율적인 운영과 통합관리를 위해 공간 유형별 안내표지판을 제시하였다. 관광지의 유형은 자연휴양형(산악형, 해안형, 내륙형), 종합휴양형, 역사·문화형으로 구분하였고, 관광안내표지판의 종류를 종합관광안내표지판, 관광유도표지판, 관광해설표지판, 관광명칭표지판, 규제표지판, 사설안내표지판으로 제안하였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도출된 유형으로 관광지 사례조사를 통해 공간 유형별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관광지 공간의 유형화 및 안내표지판 종류 체계를 제안하여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의 질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국가와 충청남도에서 인증한 충청남도 관광지로 한정하여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로 우리나라의 모든 관광지 유형의 특성을 담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향후 사례를 국내 관광지로 확대한 국내 관광지 안내표지판의 유형화 연구로 본 연구의 의의를 증명하며 한 단계 진보된 관광안내표지판 계획을 위한 가이드가 되기를 희망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Local governments are striving to strengthen tourism competitiveness in the region through regional characterization of tourist sites and to cope with systematic approaches and changes in trends in tourism paradigms. However,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major tourist destinations has caused confusion due to the wrong installation of information boards or the absence and error of foreign language labeling, causing inconvenience to tourists visiting these sites. Most tourist information signs are managed and operat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but related laws and guidelines are working extensively, requiring guidance that complies with institutional hierarchy.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visiting tourist sites in the region with a tangible system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 and a strategy for organizing guide signs according to tourist space, and to make the planning of tourist information signs that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sign management and operation in the administration. (Method) Through prior research, the government sought to analyze the type and apply the contents of the directional signs for the types of sites. The scope of the survey and analysis was limited to Chungcheongnam-do. The type of tourist information sign was derived by dividing the types of tourist attractions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on tourist information sign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Chungcheongnam-do Tourism Area Plan (2017-2021). Also, the major attractions presented by type in the Chungcheongnam-do Tourism Area Plan were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through seven surveys according to the type of tourist information signs and the classification. (Result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ourist information signs for each type of space were presented. The types were divided into nature recreation type (mountain, coastal, inland), comprehensive recreation type, and historical and cultural type. The types of signs were proposed as comprehensive tourist information, tourist guidance, tourist description, tourist name, regulatory, and private information signs, and verified through expert surveys. Besides, the proposed improvement plan was presented by drawing up problems by space type through a case study of tourist attractions. (Conclusions) The purpose was to promote the quality of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by proposing the typeization of tourist space and type system of guide sig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ll types of tourist attractions are included in the survey, and if the analysis of tourist attractions was certified by the country and Chungcheongnam-do. Hopefully, this study will prov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with the study of the typification of guide signs for domestic tourist attractions that have expanded future cases to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and serve as a guide for planning advanced tourist information sig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