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담양지역 판소리 후원문화 고찰 (A Study on the Patronage Culture of Pansori in Damyang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3.02
43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담양지역 판소리 후원문화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41권 / 601 ~ 643페이지
    · 저자명 : 정혜정

    초록

    담양 출신 명창으로는 광주소리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박동실이 있다. 일제강점기 담양지역 판소리의 후원문화에 대해 탐색하는 일은 박동실의 판소리가 성립될 수 있었던 저변을탐색하는 작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담양지역에는 박동실이 기거하며 소리를 했던 담양읍 우송당과 소리 선생으로 있었던 남면 지실마을의 초당이 있다.
    담양읍 부호 국채웅(鞠採雄, 1871~1949)은 ‘우송당(又松堂)’의 주인이다. 일제강점기활발한 경제 활동을 펼치며 지역의 유지들과 많은 교유를 하였으며, 우송당에서는 풍류가 끊이지 않았다.
    박석기(朴錫紀, 1900~1950)는 일본 유학 후 담양 남면 지실에 초당을 마련하여 풍류객들과 어울렸으며, 그곳에서 국악 교육을 하였다. 박동실을 소리 선생으로 초빙해 민족음악의 예술가들을 배출하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 지실마을에 기거하고 있던 역사학자 신태윤, 민족종교인 김요관, 정철의 후손인 정태면 등과 교유하였다.
    담양지역 판소리 후원은 판소리 전승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다. 국채웅의 우송당과 우송정은 일제강점기 지역의 문화공간으로서 풍류방의 역할을 하였다. 박석기의 지실초당은 우리 민족의 음악을 교육한 국악 교육 전승지로서 그 의미가 있다.
    국채웅과 박석기의 후원은 박동실의 예술 활동에 도움을 주었다. 특히 박석기는 박동실의민족주의적 사상에 일조하였다. 박석기의 의식 세계는 정노식의 사상과 맞닿아 있으며, 그의후원 활동은 판소리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후원자, 거문고 산조 전승자, 화랑창극단과 조선창극단의 활동을 통해 새로운 고전 창극을 수립하고자 하였던 기획자였다. 또 지실초당에서 소리를 배웠던 명창들은 판소리계의 거목으로 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현대 판소리 전승의 초석으로 자리하였다.
    후원문화는 지역의 판소리 전승에 많은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다. 담양지역은 특히 후원이 이뤄졌던 ‘우송당’과 ‘지실초당’이라는 공간이 남아 있다. 공간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일은 무엇인지 앞으로의 고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Park, Dong-sil is a famous singer from Damyang. He is the person who formed the basis of the sound of Gwangju.
    Looking at the sponsorship culture of Pansori in Damy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eriod is to confirm the basis for Park, Dong-sil's Pansori to be established.
    “Woosongdang”, located in Damyang-eup, Damyang area, is where Park, Dong-sil studied sound while living. “Jisil Chodang” in Jisil Village, Nam-myeon, is where he served as a teacher.
    Rich Kuk, Chae-woong(鞠採雄, 1871~1949), who lived in Damyang-eup, is the owner of Woosongdang.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e engaged in active economic activities and exchanged a lot with local leaders. For this reason, pansori performances were continuously held at Woosongdang.
    After studying in Japan for many years, Park, Seok-ki(朴錫紀, 1900~1950) set up a chodang in the branch office of Nam-myeon, Damyang-gun to hang out with the visitors. He taught Korean traditional music here. I invited Park Dong-sil as a pansori teacher.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produce artists who do national music. He interacted with historian Shin, Tae-yoon, who lived in Jisil Village, religious man Kim, Yo-gwan, and Jeong, Tae-myeon, a descendant of Jeong, Cheol.
    The sponsorship of Pansori in Damyang region has meaningful results in the transmission of Pansori. The Woosongdang and Woosongjeong of Kuk, Chae-woong played the role of Pungryubang and Gwonbeon as cultural spaces in Japanese colonial era. Park, Seok-ki's Jisilchodang is meaningful as a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transmission site that educated the music of the Korean people.
    The sponsorship of Kuk, Chae-woong, Park, and Seok-ki helped Park and Dong-sil work in the arts. In particular, Park, Seok-ki helped Park, Dong-sil learn nationalist ideas. Park, Seok-ki's world of consciousness is in contact with Jung, No-sik's ideas, and his sponsorship activiti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pansori.
    Park, Seok-ki was a pansori patron. He was the transmitter of the geomungo Sanjo. He was a planner who tried to establish a new classical Changgeuk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Hwarang Changgeuk Company and the Joseon Changgeuk Company.
    Those who learned the sound at Jisilchodang became central figures in the pansori world. He trained many disciples and became the basis for the transmission of modern pansori.
    It can be seen that the Patronage cultur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transmission of pansori in the region. In Damyang, there are spaces called “Woosongdang” and “Jisil chodang” where Patronage for Pansori was held.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can be done to reflect on the value of spac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