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상파방송에서의 중간광고 금지는 과연 정당한가? (Is there any Legitimacy for Imposing restrictions on Terrestrial Broadcasting Advertisi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지상파방송에서의 중간광고 금지는 과연 정당한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언론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법 / 13권 / 2호 / 31 ~ 57페이지
    · 저자명 : 고민수

    초록

    지난 1974년 이후 지상파방송사업자의 오랜 숙원사업인 중간광고 허용여부 그리고 광고총량제 도입여부가 “뜨거운 감자”로 다시 등장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014년 8월 4일 향후 3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할 7대 정책과제를 담은 이른바 ‘제3기 방송통신위원회 비전 및 주요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그 가운데 지상파방송에 광고총량제를 도입하는 방안과 함께 중간광고 허용 추진을 검토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발표에 대해 이해관계자들의 반응은 신속했으며, 말 그대로 첨예(尖銳)하다.
    여기서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지상파방송에서의 광고(시간)총량제 도입과 중간광고 허용여부의 문제를 사업자들 사이의 “힘겨루기” 혹은 “밥그릇 싸움”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광고총량제와 중간광고 허용여부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책과제의 발표라는 형식을 띠고 있다. 당장 기존 질서에 어떠한 변화를 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정책이 집행되기 위해서는 법령 개정을 수반하여야 한다. 때문에 관련 법적 쟁점에 대한 검토는 향후 규범의 실효성과 정당성 확보를 위해 필수불가결하다. 더 나아가 현행 제도의 타당성 혹은 정당성여부에 대한 검토로서의 의미도 크다고 하겠다. 그렇다면, 어떠한 법적 쟁점들이 제기되는가? 기존 논의에서 제기된 대표적인 쟁점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통신위원회가 중간광고 허용을 검토함에 있어 한계로 밝힌 바와 같이 이른바 “시청자의 시청 흐름 방해 즉, 시청권 침해”여부라는 쟁점이 제기된다. 둘째, 광고에 대한 프로그램 종속 가능성이 커져 자본으로부터 방송의 독립성이라는 가치가 침해될 수 있다는 쟁점도 등장한다. 셋째, 이른바 “매체 간의 균형발전을 위한 비대칭규제”가 사라져 매체들 사이에 불균형이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지적 역시 제기된다. 넷째, 이번 정책과제 발표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지상파방송의 재원 확보가 규범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국가 공동체 내에서 방송질서를 형성함에 있어 지상파방송이 갖는 의의에 대한 전향적 해석을 위한 공법이론적 접점을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전체 방송질서에서 지상파방송이 갖는 구조적 의의와 규범 체계적 특성 그리고 지상파방송과 유료방송의 유형별 접근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논의에서 제기된 쟁점들을 헌법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법을 가늠잡아 보며, 이를 기준으로 법정책적 과제를 개략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Korean Communications Commission pronounced mid-program TV ads which was prohibited in 1974 on Korean terrestrial TV and total amount of advertising. There is a lively discussion going on this subject in Korea.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Advertiser have expectations on this new way of advertising system which have restored in 30years, but on the hand viewer's organization criticized the commission for ignoring the right of the viewers.
    Terrestrial broadcasters have maintained that the current broadcasting policy is reversely discriminative against them because it is mainly grounded in wrong balanced media development theory.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contention is true. It makes clear that balanced media development theory does not mean equal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broadcast services. Instead, the theory connotes medium specific analysis advocating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standards to different media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medium.
    This study analyzes grounds for objection to mid-commercial proposal.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the freedom of broadcasting and the theory of constitutional policy.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current advertising policy is not reversely discriminative against terrestrial broadcasting in terms of balanced media development. The regulatory measures have some problems. Based on the findings, this article suggests desirable minds and directions adopted by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broadcast policy instit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과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