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파사드를 활용한 한강 다리의 공공성 증진 연구 (A Study on Enhancing the Publicness of Han River Bridges With Media Facad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5.03
18P 미리보기
미디어파사드를 활용한 한강 다리의 공공성 증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43권 / 2호 / 497 ~ 514페이지
    · 저자명 : 하준수

    초록

    한강은 서울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시민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도시 환경의 중심축으로서, 한국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상징에서 이제는 생태와 문화의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한강 둔치는 개방적 공간과 편리한 접근성으로 주·야간 일상적 여가 활동 뿐만 아니라, 계절별로 다양한 행사와 축제가 열리며 시민 삶의 다채로운 플랫폼으로서 그 가치가 입증되고 있다.
    한강의 다리 역시 교통과 이동을 위한 기반 시설에서 점차 도시 경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건축적 상징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공간의 공공성과 친환경적 지속가능성이 강조되는 사회·문화적 흐름에 따라 한강 다리의 문화적, 예술적 기능 역시 증대되고 있다. 무엇보다 산업구조의 변화와 문화적 다양성 증대로 야간 문화의 가치가 주목받고 있는 세계적인 흐름은 한강 다리의 역할을 더욱 다원화하였다. 다리의 경관조명은 심미적 건축 구조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빛의 예술로서 서울의 야경을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매력적인 콘텐츠로 변화시킨다. 2008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반포대교의 달빛무지개분수는 경관조명의 기능을 넘어 복합적인 공공 예술로서 한강 다리의 잠재력을 증명한 사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 다리가 지닌 문화·예술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을 도시 인문학과 공공 예술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현재 기술적 환경에서 한강 다리에 실현 가능한 융합형 미디어아트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한강 다리의 교각 사이 공간에 워터 스크린을 활용한 미디어파사드를 투사하고 유람선 상에서 이를 통과하며 관람하는 참여적 미디어아트로서, 건축구조물이 도시의 서사를 담은 콘텐츠이자 상시 유연하게 변화하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전환하는 공공예술적 가치를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는 이론적 근거와 실현 가능성을 기반으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한강 다리의 공공성 제시로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정책적 부합성, 경제적 타당성, 그리고 시민의 공감대 형성 등 입체적이고 현실적인 연구와 검토가 수반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Han River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history and culture of Seoul, serving as a central axis of the urban environment, deeply embedded in the daily lives of its citizens. Once a symbol of Korea's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it has now transformed into a space for ecology and culture. The riverbanks of the Han River, with their open spaces and convenient accessibility, host a variety of daily leisure activities and seasonal festivals, demonstrating their value as a multifaceted platform for urban life.
    Similarly, the bridges spanning the Han River have evolved from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transportation and mobility into architectural symbols that shape the city's identity. In line with the increasing emphasis on the public nature of spaces and eco-friendly sustainability within social and cultural trends, the cultural and artistic functions of these bridges have grown. Notably, the global recognition of the value of nighttime culture, driven by shifts in industrial structures and cultural diversity, has diversified the roles of the Han River bridges. Their lighting not only accentuates their aesthetic architectural features but also transforms them into luminous works of art, creating attractive urban content that enhances Seoul's competitiveness. The Moonlight Rainbow Fountain at Banpo Bridge, operational since 2008, exemplifies this potential, extending beyond lighting to become a complex form of public art.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Han River bridges as cultural and artistic platforms from the perspectives of urban humanities and public art. It proposes a feasible model of integrated media art, utilizing current technological environments.
    Specifically, it envisions media façades projected onto water screens between bridge piers, allowing viewers aboard river cruises to experience the installation interactively. This participatory media art concept reimagines architectural structures as dynamic communication media and repositories of the story of the city, thereby suggesting their value as public ar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the public value of the Han River bridges in alignment with contemporary trends, grounded in both theoretical analysis and practical feasibility. However, for these concepts to be realized, comprehensive and realistic research and assessments must accompany alignment with municipal policies, economic viability, and public consens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