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습장애 선정 현황 및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의 참여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방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about Diagnosing LD and Participating in a Multiple Support Team for Improving Basic Academic Achievements within General Schoo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0.04
27P 미리보기
학습장애 선정 현황 및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의 참여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방안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논리성
    • 전문성
    • 신뢰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특수교육 현장의 학습장애 선정 현황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제공
    • 🤝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간 협력 방안에 대한 실제 전문가 인식 분석
    • 📊 교육청별 학습장애 대상자 선정 현황의 차이점 탐색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장애연구 / 17권 / 1호 / 43 ~ 69페이지
    · 저자명 : 정광조, 이대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습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현황과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가 참여하여 일반교사와 협력하는 방안에 대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으로 2019년 학습장애 특수교육대상자가 가장 많은 A 교육청의 특수교육 현장전문가 2명과 상대적으로 학습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수가 적은 B 교육청의 특수교육 현장전문가 6명을 선정하였다. 학습장애 선정 현황은 빈도분석 및 전화 인터뷰로 그리고 다중지원팀에 특수교사가 참여하여 일반교사와 협력하는 방안에 대한 인식은 비동기 가상 포커스그룹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A 교육청의 학습장애 수는 국내 전체 학습장애의 25%를 차지하였으며, 그 이유는 학습장애 특수교육전문가들이 A 교육청에 개정된 학습장애 선정 기준을 채택하고 실시하도록 민원을 넣은 것을 A 교육청이 받아들인 후, A 교육청의 특수교육원을 통해 실천에 옮겼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다중지원팀 참여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들의 학습장애 전문성 제고 후,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은 일반교사들과의 협력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는데, 이는 일반교사들과의 학습장애에 관한 협력 경험이 많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학습장애 위험 학생들에게 특수교육을 제공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학습장애에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청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가들의 동의를 전제로 한 특수교육계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다른 시․도교육청의 학습장애 선정 현황과 인식, 본 주제에 대한 다양한 특수교육 현장전문가들의 인식 그리고 일반교사들의 기초학력향상을 위한 특수교사들과의 협력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involvement of special education in a multiple support team to improve basic academic achievement.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from A local educational office and six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B local educational office participated our study. For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we analyzed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terviewed them about their perceptions of diagnosing LD. We also examined the awareness of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the virtual focus group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learning disabilities of the school district B accounted for 25% of the total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because the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ut in complaints to adopt and implement the revised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criteria in the school district. Regarding the participation of special teachers in the multi-support team, it was first said that the special teachers should improve their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n cooperate with general teachers.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experts were taking a passive attitude toward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nd this seems to be because they did not have much experience in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They agree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o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but they needed to discuss the special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consent of the education office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experts on including students with low basic education in learning disabilities. As a follow-up study, a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e of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by othe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is topic, the perceptions of various special education field experts, and need general teachers’ special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se top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