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I 시대 국어과 디지털 활용 교육 연구: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Korean Language and Digital Education in the Age of AI: Effects of Digital Team Presentation Video Production Class o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and Learning Experienc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4.08
16P 미리보기
AI 시대 국어과 디지털 활용 교육 연구: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16호 / 657 ~ 672페이지
    · 저자명 : 양일동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이 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방법 본 연구는 2023년 12월에 인천 S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행 수업을 진행하고, 활동지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전문가(국어과 교수 1인, 교육학박사 2인)의 검토 후 사전 인식 조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사전 참여도 검사와 사후 참여도 검사 설문 결과는 SPSS 28.0을 이용해 대응 표본 T-test를 통계 분석하였고, 개방형 문항과 결과물은 내용 분석하였다.
    결과 디지털을 활용한 국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을 활용한 국어 수업이 학생들로하여금 수업 활동에 자율적, 협동적으로 참여하고,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지능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수업참여도와 학습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방증한다. 아울러 팀 학습을 통해 언어⋅비언어적으로 수업 활동 일체에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디지털을 활용한 팀 발표 영상 제작 수업은 ‘1인 1디바이스’ 시대 전환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활용 역량 함양을 위해 새로운 교수 학습의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매체’ 영역의 신설에 따라 국어과 교수 학습에 디지털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던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digital team presentation video classes on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and learning experiences. This can be sai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achieve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that provides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o learners and allows them to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by using digital technology.
    Methods In December 2023, this study conducted an implementation class for first-year students of S Middle School in Incheon and analyzed the results by collecting data through activity papers an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a pre-recognition survey, a pre-test, and a post-test after review by experts (1 Korean language professor and 2 PhDs in education), and a pre- and post-question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udents' reaction to the ‘Team Presentation Video Production Class Using Digital’. For the results of the pre-participation test and post-participation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8.0, and the contents of open-ended questions and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It can be seen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digita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digital participate autonomously and cooperatively in class activities, and that students themselv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lass participa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that represent their intelligence or function. It also shows that through team learning, students are actively and directly involved in all class activities verbally and nonverbally.
    Conclusions The team announcement video production class using digital utilization was an opportunity to provide a new professor learning to respond to the conversion of digital utilization of digital utilization.In particular, this study is a new attempt to find ways to find ways to use digital media and teach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2022 revision education process middle school's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