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직 내 사회적 관계가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hips on Team Leaders’ Job Stres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6.04
21P 미리보기
조직 내 사회적 관계가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이 자료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이 내용은 AI를 통해 자동 생성된 정보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해 주세요.
    • 전문성
    • 신뢰성
    • 실용성
    • 유사도 지수
      참고용 안전
    • 🔬 조직 내 사회적 관계의 직무스트레스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제공
    • 💡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실무적 통찰 제공
    • 📊 4개 회사의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연구 결과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29권 / 4호 / 597 ~ 617페이지
    · 저자명 : 이기현

    초록

    오늘날 많은 조직들이 팀제를 도입하여 운영함에 따라 팀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할이 다양화되고 업무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팀 리더는 증가하는 역할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게 되어 많은 부담을 느끼게 되고, 이는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는 효율적인 의사결정과 업무 수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 요구-자원(job demands-resources) 모형의 관점을 채택하여, 직무 요구로 인하여 팀 리더에게 주어지는 잠재적인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이 항상 직무스트레스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팀 리더가 충분한 직무 자원을 보유하게 되면 직무스트레스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사회적 관계를 팀 리더에게 직무 자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통로(conduits)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조직 내 사회적 관계를 수직적-수평적인 관계와 팀 내부-팀 외부에서의 관계를 포괄해야 한다는 기존 연구의 제언에 따라, 팀 리더가 사회적 관계를 맺는 대상을 상위 리더, 동료 리더, 팀원들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회적 관계가 팀 리더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국내 4개 회사의 팀 리더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팀 리더들이 상위 리더, 동료 리더, 팀원들과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 지원 등 사회적 관계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자원들이 직무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켜 직무스트레스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의 주장을 팀 리더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첫째, 다양한 형태의 직무 자원이 직무 요구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기존의 논의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팀 리더가 보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직무 자원으로서의 사회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제시한다는 것이고, 둘째, 팀 리더가 사회적 관계를 맺는 대상을 상위 리더, 동료 리더, 팀원들로 구분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의의와 함께 실무적 함의,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As organizations have adopted a team-based work structure to cope with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competitive intensity within industries, team leaders have been under the pressures that force them to experience role overload. Team leaders do not have enough resources to cope with their job demands and requirements, which, in turn, functions as a critical factor that cause job stress. Given that team leaders’ job stress not only negatively influences perceptions, emo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in workplace but also serves to threaten efficient decision-making and group management,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ways to help reduce team leaders’ job stress. However, research on stress has mainly focused on employees’ job stress, but rarely on team leaders’ job stress. Especially, research focused on antecedents of team leaders’ job stress has been notably limited.
    We address this research gap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n leaders’ job str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leaders’ job stress, I adopt job demands-resources model. At the heart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lies the premise that the limited access to relevant job resources to cope with job demands causes anxiety and frustration, and thus lead to job stress. In this study, I argue that social relationships act as conduits through which job resources (i.e., social/emotional/political support and information) flow. Following the suggestion of previous studies that social relationships include vertical social relationships and horizontal social relationships, I consider team leaders’ social relationships with a supervisor, other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as antecedents of team leaders’ job stress.
    Supervisors have important and diverse resources and information to which team leaders hardly acces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visor and a team leader is of high-quality rather than low-quality, team leaders will receive valuable resources. In addition, a strong social relationship with a supervisor helps team leaders accurately understand the supervisor’s intention, which, in turn, helps manage job demands.




    H1: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 team leader and a supervisor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team leaders’ job stress.




    The more team leaders have strong quality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 team leaders, the more centrally positioned they are within a team leader network. Central team leaders have more opportunities to access important resources and to be offered help and support from other team leaders because they hold social status and power. Thus, a social relationship with other team leader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e team leaders’ job stress.




    H2: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 team leader and other team leaders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team leaders’ job stress.




    Leaders develop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members, such that they have high quality exchange with some members and low quality exchanges with others. Differential relationships results in serious problems, such as relationship conflict, a lack of communication, and a decrease in cooperation among team members. However, if a team leader has strong relationships with her/his members, the negative effects of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ll be diminished. In addition, strong social relationships elicit prosocial behaviors of members such as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helping behavior through reciprocity norm and mutual trust between a team leader and members. Accordingly, I expect that a social relationship with team members will lead to positive team climate, which, in turn, will contribute to reduce team leaders’ job stress.




    H3: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 team leader and team members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team leaders’ job stress.




    A field study involving 36 supervisors, 89 team leaders, and 543 team members representing four Korean companies provided evidence that social relationships significantly influence team leaders’ job stress. As hypothesized, social relationships with a supervisor, other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were negatively related to team leaders’ job stres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