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작업팀의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 부여가 효과적 혁신실행에 미치는 영향: 자원 활용의 매개효과 및 팀 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n innovatio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in work teams: resource utilization as mediating mechanism and team context as boundary condit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0.11
29P 미리보기
작업팀의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 부여가 효과적 혁신실행에 미치는 영향: 자원 활용의 매개효과 및 팀 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44권 / 4호 / 71 ~ 99페이지
    · 저자명 : 김현지

    초록

    작업팀은 조직 혁신 실행의 중요한 단위로서 작업팀 수준에서 효과적 혁신 실행을 이루는 것은 조직 혁신 달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혁신은 기존에 해오던 일상 업무에서 벗어나 새로운 제품,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새로운 프로세스로 업무를 실행하여야 하기에 팀원들의 상당한 수준의 공동의 노력이 요구 되므로, 이러한 행위를 이끌기 위한 동기부여가 중요하다. 그런데 팀의 동기부여는 주로 혁신 아이디어 개발 단계에서만 선행 요인으로 연구되어졌고, 혁신 실행 단계는 실증 분석 된 것이 제한적이다. 혁신 은 세부 단계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갖고 요구되는 역량이 다르기에, 개발 단계에 영향을 준 팀의 동기 부여가 팀의 실행 단계에서는 어떠한 영향을 줄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의 세부 단계 중 혁신 실행 단계에 초점을 갖고 팀의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부여가 효과적 혁신 실행에 어떠한 관계 를 갖는지를 자원 활용이란 행위를 메커니즘으로 규명하였다. 또 더 나아가, 내재적 혁신 지원 팀 기후 와 외재적 혁신 관련 보상과 같은 팀의 환경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국내 16개 회사 84개 팀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혁신 아이디어 개발 단계처럼 내재적인 동기부여를 가진 팀이 외재적인 동기부여를 가진 팀보다 효과적 혁신 실행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고, 자원 활용이 이러 한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외재적 보상이 내재적 동기부여와 상호작용하며 혁신 아이디어 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던 것과 달리, 혁신 실행 단계에서는 팀이 내재적인 동기부여를 갖고 있을 경우 내재적 혁신 지원 팀 기후만이 혁신 실행 효과성과의 긍정적 관계를 강화하고, 외재적 동기부여를 가진 팀은 외재적 혁신 관련 보상만이 혁신 실행 효과성과의 부정적 관계를 약화시켰다. 본 연구는 팀의 구조적, 환경적 측면 및 리더십 중심의 기존 팀 수준 혁신연구를 확장하여, 팀의 심리 학적 특성이 효과적 혁신 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혁신 연구 시 혁신의 세부 단계로 구분하여 선행 요인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고취 시킨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o succeed in innovation in organizations, work teams are becoming a critical unit for innovation implementation. Since innovation goes beyond the daily, routinized tasks and produces new products, services, or processes, team motivation that could lead a handful of efforts is essential for teams to implement innovation effectively. Team motivation has been studied much as an antecedent for innovative idea generation but has been limitedly studied for innovative idea implementation. Given that different stages in the innovation process have varying characteristics and require different capabilities, it is not clear whether an antecedent that was effective at the idea generation phase will also hold at the implementation phase.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nnovation implementation phase and examines how the team’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re associated with successful innovation implementation via resource utilization behavior. Besides, it examines how team contexts such as innovation incentives and organizational support climate for team innovation could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ith surveying 84 teams of 16 companies in South Korea, and found that similar to previous research on the idea generation, teams with intrinsic motivation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innovatio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while extrinsic motivation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and these relationships were all mediated by resource utilization behavior. However,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 on idea generation where innovation incentives moderated intrinsic motivation-idea generation relationship, this study on idea implementation showed that innovation incentives did not interact with intrinsic motivation, but only with exter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climate for team innovation only interac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expands team innovation implementation research by adding the importance of team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ther than team organization, team context, and team leadership. Besid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tudying innovation while breaking down innovation into sub-ph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