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에 활용된 트랜스-다이제틱 음악의 내러티브적 기능 고찰 (A Study on the Narrative Functions of Using Trans-diegetic Music in Film)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3.01
16P 미리보기
영화에 활용된 트랜스-다이제틱 음악의 내러티브적 기능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7권 / 1호 / 121 ~ 136페이지
    · 저자명 : 조소혜, 장민호

    초록

    영화음악을 분류하는 전통적 방식의 두 공간인 내재적(Diegetic), 외재적(Non-diegetic) 공간은 영화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경계가 점점 더 모호해지며 두 범주 사이 공간에 존재하는 영화음악의 개념이 여러학자에 의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제시된 이론들은 영화 속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였을때, 대부분 내재와 외재로 다시 귀속된다는 한계점을가진다. 선행 연구의 영화음악 위치성 분류는 ‘공간’에 국한하지만, 공간에 제한한 음악 위치 분석은분명한 한계점이 있다. 영화 속에서 음악은 시간의흐름에 따라 내재와 외재의 경계를 자유롭게 허물며그 정체성을 바꾸어 관객을 공감의 길로 이끌어가기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사적 두 공간을 무너뜨리지 않으면서도 내재적, 외재적 기능을 결합하여영상의 비연속적 시·공간을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트랜스-다이제틱(Trans-diegetic) 음악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이 영화에 작용하는 내러티브적 기능에 관해 살펴본다. 본 연구는 트랜스-다이제틱 음악의 연출 효과를 ‘코미디 창출’, ‘종속적 기능과 대위법적 기능의 결합’, ‘음향 변화를 통한 내러티브 관점 전환’으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사례를 면밀히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내재와 외재 공간의 ‘경계 허물기’로 발생하는 미묘한 긴장감이영화에 독창적 미학을 부여하고, 내러티브에 풍부한해석의 폭을 넓혀줌을 입증한다.

    영어초록

    The traditional boundary between diegetic sound (that which comes from within the film itself) and non-diegetic sound (that which comes from outside of the film), the two main methods of sound design in film, has become increasingly blurred with advancements in filmmaking technology. The result is that films are capable of transgressing space based on the location of where the sound in a film comes from. Music that come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of a film’s narrative, freely crossing the border between diegetic and non-diegetic is called trans-diegetic and can be used for creative effect in films. This sort of sound lends itself to the formation of more creative narrative structures and can provide audiences with a richer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a film. Compared to how often trans-diegetic sound appears in films, there has been little in-depth research into its use and the effects that it can have.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rans-diegetic music into three main categories based on the response it is intended to elicit. The first is for comedic effect, the second is as a combination of dependent and counterpoint functions, and the third is to transition between narrative perspectives via sound effects and sound design. These different use cases will be analyzed by examining specific scenes from films that use trans-diegetic sound in one of these three ways.
    Ultimately, it will show that the technique of trans-diegetic sound in films when applied to music can provide viewers with a more colorful interpretation and introduce a range of new possibilities in narrative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