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멀티미디어 라이브 퍼포먼스의 상호매체성과 메타성 연구 -케이티 미첼의 <노란 벽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mediality and Meta-Property of Multimedia Live Performance -focused on Katie Mitchell’s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7.10
12P 미리보기
멀티미디어 라이브 퍼포먼스의 상호매체성과 메타성 연구 -케이티 미첼의 &lt;노란 벽지&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8권 / 5호 / 27 ~ 38페이지
    · 저자명 : 권아람

    초록

    본고는 장르 융합 작품에서 발견되는 매체 미학적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케이티 미첼(Katie Mitchell)의 멀티미디어 라이브 퍼포먼스(Multimedia Live Performance)-<노란 벽지(the Yellow Wallpaper)> (2013)-를 중심으로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과 메타성(Meta-Property)에 관해 논의하였다. 상호매체성은 두 가지 이상의 예술형식을 혼용하거나 두 장르가 특정 관계에 놓이는 것을 의미하며, 메타성은 형식의 재귀적 구조와 자기반영성을 토대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표현 양상을 의미한다. 연극과 영화의 형식이 결합된 <노란 벽지>에서는 영화 프로덕션 기술진이 무대에 등장하여 연극을 실시간 영화로 변환시킨다. 이 과정에서 무대 위로 노출된 기술 인터페이스는 연극과 영화를 혼합하는 매개로 작용하며, 연극의 고유한 현장성과 영화의 재현성을 동시에 성취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술 매체를 활용하여 연극의 정체성을 탐구한 20세기 매체 연극과 유사하지만 <노란 벽지>가 서사 구성과 실험성을 동시에 유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발견된다. 따라서 <노란 벽지>는 연극과 영화의 상호매체적 관계를 근거로 새로운 장르 영역을 생성한다. 더불어 연극과 영화가 공생관계로써 서로를 재매개하는 상황은 장르의 재귀적 성찰로 이어진다. 기술진의 출연으로 인해 관객의 시점이 연출자의 시점으로 도치되며 <노란 벽지>는 현실로 의미 확장을 꾀하는 메타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다. 결국 미디어에 대한 본질적 이해가 장르 융합의 새로운 미학적 형식을 생성할 뿐 아니라 관람자의 지각 방식에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예술적 가치를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into the ‘Intermediality’ and ‘Meta-property’ of converging mediums in art, specifically in regards to Katie Mitchell’s work, <the Yellow Wallpaper>(2013). ‘Intermediality’ refers to the adjoining or converging of two or more art forms and ‘Meta-properties’ refers to the expressive method or composition of mirroring or reflecting upon oneself in such exploration. With <the Yellow Wallpaper>, the film crew appear on a theater stage and transforms the play into a movie in realtime. The exposed film crew and their equipment act as the interface for these two art forms fulfilling the liveness of theater and the reproducibility of film making together. Such work is reminiscent of 20th century media theater. However, <the Yellow Wallpaper> differs from such early work since it achieves both experimentation and narrative at the same time. It even goes so far as to create a new genre of intermediality relationships between film and theater. This almost symbiotic relationship of the two genres as remediation results in the recursive reflection and mirroring of the two mediums. The introduction of the film crew in the actual work seeks to imbue the role of producer into the spectators thereby introducing a meta-realism to the work.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each medium in turn creates a new aesthetic of intermediality as well as a new cognitive approach by the spectators for an expansive appreciation of the art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