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 조사와 어미의 신질서를 찾아서 (A way towards the Fusion in Korean Syntax - looking for the new order of particles and ending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15.03
46P 미리보기
한국어 통사론에서의 융합의 길 - 조사와 어미의 신질서를 찾아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70호 / 71 ~ 116페이지
    · 저자명 : 목정수

    초록

    본고는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의 융합과 통합의 길을 찾아 나선다. 융합이 영역 간의 혁명적인 하이브리드에 앞서 한 영역 안에서도 모순성과 비정합성을 극복하게 해 주는 인식과 발상의 전환으로 충분히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사 ‘가’/‘를’과 더불어 어미 ‘-(는)다’의 문법적 지위 규정과 관련된 문제를 따져봄으로써 한국어 통사론 연구에서 논항구조에 바탕을 둔 문장 구조 분석도 중요하지만, 어미와 조사를 중심으로 한 인칭구조에 토대를 둔 문장 구조 분석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작례가 아닌 실제 문장의 분석 사례를 제시한다. 조사 ‘가’와 ‘를’은 격조사가 아닌 후치 한정사로, 어미 ‘-(는)다’는 인용․접속법의 서법 어미로 규정한다. 또한 그로 인해 얻어지는 여러 가지 함의를 제시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attempt to practice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fusion” in Korean syntax and look for a way of building a nitty-gritty Korean grammar on the basis of the new order of particles and endings, in which particles and endings are all dealt with as syntactic units.
    In order to attain these goals, we justified the reason why the particles ‘가ga’ and ‘를reul’ should be defined as a class of determiners like ‘도do’ and ‘는neun’ in particle system. And we took the concept of “subject” into reconsideration and presented two types of transitive constructions, those with ‘ga-type object’ and those with ‘reul-type object’. So the so-called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such as ‘코끼리는 코가 길다.’ and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 were analyzed as transitive constructions in parallel with the typical transitive constructions like ‘코끼리는 과자를 코로 받아먹는다.’ and ‘나는 호랑이를 무서워한다.’. That is to say, “split-O system” is newly proposed in the academic world of linguistic typology; [코끼리는subj [코가obj 길다pred]], [나는subj [호랑이가obj 무섭다pred]]
    On the other hand, we reclassified a number of endings only on the basis of their distribution so that we established the mood system in Korean; endings of quasi-nominal mood {-음eum, -기gi; -은eun, -을eul; -아a, -게ge, -지ji, -고go}, those of subjunctive mood {-(는)다(neun)da, -(느)냐(neu)nya, -자ja, -(으)라(eu)ra, -(으)려(eu)ryeo} and those of indicative mood {-니ni, -어eo, -나na, -지ji, -게ge, etc.}. In particular, we described the usages of the ending of quotative-subjunctive mood ‘-(는)다(neun)da’, utilizing authentic oral and written corpora and showed how it is related to the category of 3rd person in comparison with the ending of indicative mood ‘-어eo’, the person information of which is connected with 1st person. This difference between ‘-(는)다(neun)da’ and ‘-어eo’ permits us to explain why the former is used in diary or narration styles while the latter is used in letter or dialogue styles. In sum, we did not mere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dings in parsing the Korean syntax with regard to person, but also carried out syntactic analyses of some constructions with the ending ‘-을게eulge’ in terms of person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