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모델 개발: Schein의 과정 컨설팅을 중심으로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for school consultant: Based on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perspectiv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4 최종저작일 2023.12
31P 미리보기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모델 개발: Schein의 과정 컨설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핵심역량교육연구 / 8권 / 2호 / 47 ~ 77페이지
    · 저자명 : 배현주

    초록

    학교 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은 결정적이다. 그리고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은 컨설팅의 원리에서나 수행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공통역량 중에서도 특히 핵심적인 역량으로 강조된다. 본 연구는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을 구조화하고, 특히 Schein의 과정 컨설팅 모델을 기반으로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을 규명했다.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은 직종이나 직무에 관계없이 직업인이라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공통역량과 컨설턴트에게 요구되는 컨설팅 역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통역량은 의사소통 역량(일반적인 의사소통 역량, 교육적인 의사소통 역량), 대인관계 역량, 종합적 사고력,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자기관리 역량으로 구성되고, 컨설팅 역량은 학교 현장과 학교교육에 대한 컨설팅 내용 전문성과 컨설팅 원리와 기법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의미하는 컨설팅 과정 전문성, 그리고 컨설팅 과정에서의 비밀유지, 책임성과 진정성 등을 포함하는 컨설팅 윤리로 구성된다.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은 공통역량 범주에 포함되는데, 의사소통 기술이나 태도에 초점을 맞춘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과 Schein의 컨설팅 원리에서 도출되어 의사소통의 의도와 내용에 집중하는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으로 구성된다.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은 메시지를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해하는 쓰기, 말하기, 읽기, 듣기 능력과 의견차를 좁히고 공유 부분을 늘이는 토론과 조정 능력을 포함한다.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은 Schein의 컨설팅 원리에서 도출한, 의사소통의 목적과 내용을 규명하는 요인으로 구성된다.: 1) 상호 조력관계 형성과 의사소통의 중요성 인지, 2) 컨설티의 현재 상태에 집중하는 의사소통의 현재성(現在性), 3) 의사소통의 정확성, 4) 개입의 영향력 인지, 5) 컨설티의 주도성(主導性)과 학습, 6) 컨설티가 상황과 맥락에 대해 이해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시숙성(時熟性), 7) 개입 효과를 높이기에 결정적인 기회를 포착하는 적시성(適時性), 8) 한계 상황에 봉착한 컨설티의 관점을 전환하는 개입의 직면성(直面性), 9) 컨설턴트의 개입으로 인한 부정적인 반응과 오류를 인지하고 오류를 효과적인 컨설팅의 자료로 활용하는 오류의 활용성, 10) 컨설턴트 스스로의 한계를 인정하고 문제 상황을 컨설티와 공유하는 것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체계를 개발하고, 특히 Schein의 과정 컨설팅의 목적인 문제 해결과 컨설티의 학습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교 컨설팅 전반에서 의사소통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규명하여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을 도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전반을 다루지 못하였고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만을 체계화하여,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이나 다른 공통역량, 컨설팅 역량과의 관계성과 상호보완적인 면이 충분히 드러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영어초록

    Th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successful school consulting.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is emphasized as a core competency because it is critical for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consulting.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with a specific focus on elucidating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based on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perspective.
    Th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can be categorized into common competency and professional consulting competency as a consultant. The common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include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ynthetic thinking, utiliz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technolog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The consulting competency consists of field specialty on school field and school education, process specialty for consulting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and consulting ethics meaning confidentiality, sincerity, and autonomy in consult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 is classified as common competency, and consists of gener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which has been derived from Schein’s consultation principles. The general communication competency includes writing, speaking, reading, and listening ability for effective delivery and understanding of messages, and discussion and moderation ability for narrowing the gap of opinions.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is composed of sub-factors that identify the purpose and content of communication based on Schein's consulting principles: 1)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orming mutually helpfu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2) presentness of communication based on consultee’s now-here, 3) accuracy of communication, 4) awareness of the intervention influence, 5) consultee's agency and learning, 6) giving the consultee tim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ontext and to provide feedback, 7) timeliness that captures important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8) confronting intervention that changes the perspective of the consultee facing a constrained situation, 9) recognizing negative reactions and errors consultant's intervention and using them as data for effective consulting, 10) acknowledging the consultant's own limitations and sharing problem situations with consulte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a school consultants’ competency model and, in particular, deriving education communication competency, by identify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mmunication in overall school consulting focusing on problem solving and consultant learning, which are the goals of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deal with the whol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 and has focused on the education communication competency, therefore, the relationships and complementary aspects with general communication competency, other common competency, and consulting competency, were not ful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핵심역량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